‘지리적표시 등록제’ 갈수록 활성화
농민들 “진짜 신토불이 후손에게 물려주고파”
#. 고추장으로 유명한 전북 순창군은 산악지대에 위치해 여름철에도 발효식품을 저장하기 알맞게 서늘하다. 또 섬진강 상류 지하 암반수로 깔끔한 장맛을 내는 게 특징이다. 고려 말 이성계가 이곳 고추장맛을 보고 천하일미라 칭송했다고 할 정도다. 38개 농가로 이뤄진 순창전통고추장연합회는 2005년 10월 순창고추장을 ‘지리적표시’ 8호로 등록했다. 박상호 대표는 5일 “지리적표시 등록으로 외국산, 혼합 고추장일 수 있다는 오해를 벗은 후 매출도 20% 가까이 늘었다”며 “공인된 브랜드 가치를 후손에게 물려줄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시장 개방, 값싼 수입산과의 경쟁으로 위기에 놓인 농축수산업계가 특산지의 품질과 개성을 공인해주는 지리적표시 제도로 활로를 찾고 있다.
11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따르면 지난달 현재 전국의 지리적표시 등록 상품은 총 179건(농산물 100건, 임산물 55건, 수산물 24건)에 이른다. 2002년 전남 보성녹차가 1호로 등록된 이후, 2005년부터 10년간 등록 품목수가 매년 두 자릿수로 증가했다.
지리적표시는 ▦높은 인지도 ▦역사와 전통 ▦지리ㆍ환경적 특성 등 조건을 갖춘 농축수산품 생산자 단체에 배타적 지적재산권을 부여하는 제도다. 유럽 등 선진국에선 자국 농축수산물 보호ㆍ육성을 위해 일찌감치 이 제도가 발전했다. 지명을 따 유명해진 프랑스 와인 ‘샹파뉴(샴페인)’는 1860년대 포도나무 전염병으로 외국산 저품질 와인이 대량으로 쏟아져 들어오자 이에 대한 대응으로 탄생했다. 프랑스 정부는 1883년 자국 와인 보호를 위해 지리적표시를 위한 최초의 국제협약인 파리협약을 체결했다. 우리나라는 1994년 세계무역기구(WTO)의 무역관련지적재산권협정(TRIPs)에서 지리적표시제를 채택함에 따라 1999년 제도 시행 근거를 마련했다.
지리적표시 상품은 크게 ▦지역 전통을 보존한 경우와 ▦지역의 지리적 특성이 상품 가치에 영향을 미친 경우로 나뉜다. 1,500년간 모시짜기 문화를 지켜온 한산모시는 2006년 충남 서천군 일원의 모시 제품을 지리적표시 25호로 등록한 이래, 81명의 모시짜기 장인이 가입한 한산모시조합이 연간 1,500여필을 생산하고 있다. 경북 영양군의 해발 1,219m의 일월산 일대 고랭지밭에서 과피가 두껍고 식물성 지방 성분이 많은 고품질 고추를 재배하는 경북 영양군의 영양고추영농조합법인은 2005년 지리적표시 5호로 등록한 이후, 미국 시장에 매년 1억원 상당의 고춧가루 가공품을 수출하고 있다.
가격보다 품질을 우선시하는 소비 흐름 변화도 지리적표시제 확대에 일조하고 있다. 민간 농촌경제연구단체인 GS&J 인스티튜트에 따르면 지리적표시를 등록한 충주사과와 청송사과는 일반 사과보다 서울 가락시장 경매가격이 10~15% 가량 높았다. 가격 하락기에도 지리적표시 등록 사과는 값이 덜 떨어진다. 농산물품질관리원 관계자는 “지역에서 법인을 만들어 생산ㆍ가공을 공동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마을경제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수출 상품은 외국에서도 지리적표시에 의한 재산권을 보호받을 수 있다. 한ㆍ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에서도 한국 64개 품목, EU 162개 품목에 대해서는 지리적표시의 배타적 지적재산권을 인정하고 있다. 최경환 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은 “우리나라 특산품 수출이 확대될수록 지리적표시로 인한 부가가치도 커질 것”이라며 “생산자 단체가 표시 등록 이후에도 지속적인 품질 관리에 힘써 국내외 시장에서 신용을 쌓아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종=이현주 기자 memory@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