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나라 안팎으로 각종 식품사고와 먹거리 안전을 둘러싼 논란이 유난히 뜨거웠다. ‘살충제 계란’ 파동에 이어 최근에는 쌀에서도 유사한 문제점이 발견됐다. 소비자들은 우리 식탁에 오르는 많은 식재료와 음식물이 과연 위생적인 환경에서 재배ㆍ양식ㆍ가공ㆍ유통되고 있는지,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며 ‘먹거리 포비아(공포)’에 시달려야 했다.
다행히 큰 위생사고는 없었지만 수산물 분야도 그 동안 크고 작은 먹거리 안전 논란에 휩싸여 왔다. 지난 200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발암성 물질로 분류한 ‘말라카이트 그린’이 중국산 장어에서 검출된 뒤 국내 일부 양식장의 송어와 향어에서도 동일 물질이 발견되어 파문을 불렀다.
이후 수산물 생산단계에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입한 것이 양식장 위해요소중점관리(HACCP) 제도이다. 양식장에서 사용하는 항생제와 사료, 용수 등 위해요소를 출하단계부터 관리하여 안전하게 수산물을 생산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터진 2011년에도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오염 문제가 크게 대두된 바 있다. 이때부터 정부는 국내산 수산물 방사능 조사 현황을 3일마다 공개하고 있다. 고등어를 비롯해 명태, 갈치, 넙치, 오징어 등 대중이 즐겨 찾는 어종에 대해서는 상시적으로 안전성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최근 3년 간 ‘부적합’ 발생 이력이 있는 특별관리 대상 수산물과 오염우려 해역에서 생산된 수산물도 당연히 조사에 포함된다.
정부가 ‘어장에서 식탁까지 안전한 수산물 공급’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시행하고 있는 수산물 이력제 역시 수산물 안전관리를 위한 제도 중 하나이다. 이 제도는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통해 수산물의 생산ㆍ가공ㆍ유통ㆍ판매 등 모든 이력정보를 추적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생산자는 안전문제 발생 시 원인을 신속히 파악해 대처할 수 있고, 소비자는 품질을 신뢰, 안심하고 식품을 구매할 수 있다.
해양수산부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통계를 인용해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13~2015년 우리 국민의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소비규모에 비추어 볼 때, 그 동안 수산물 위생안전 사고가 심각한 수준으로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은 그만큼 수산물 안전관리체계가 잘 갖춰져 있다는 방증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안주해서는 안 된다. 수산물이력제에 동참하는 어가의 비율이 16.6%에 불과하고 양식장 HACCP 제도에 등록된 업체 비중이 전체 육상양식장 1,000여 개의 13% 수준에 불과한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소비자의 정보접근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어가와 양식장의 더욱 적극적이고 자발적 참여가 꼭 필요하다. 제도에 참여하는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더 높아지고 인증 상품에 대한 구매가 늘어나면 생산자의 참여를 견인할 수 있다.
수산물을 포함한 먹거리 안전은 아무리 조심하고 대비해도 부족한 법이다. 수산물 안전관리 시스템과 더불어 수산물을 오래도록 안전하게 즐기는 나라를 만드는 화룡점정의 해법은 바로 정직한 생산자와 현명한 소비자, 즉 국민 모두의 적극적 참여다.
정명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원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