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올 겨울 처음으로 발생해 방역 당국과 사육 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전북 고창 흥덕면 육용 오리 사육농장에서 출하 검사를 하던 도중 발견된 AI 바이러스가 고병원성 H5N6형으로 최종 판명돼서다. 정부는 해당 농장의 오리 1만2,300여마리를 모두 살처분 하고 위기 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상향 조정했다. 지난해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지 한 달여 만에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했던 것과는 달리 발 빠른 행보다. 철새 도래지인 전남 순천만에서도 야생조류 분변에서 H5N6형 바이러스가 검출됐고, 충남 아산ㆍ천안, 경기 안성, 전북 군산에서도 야생조류 분변 등에서 H5형 항원이 확인되면서 AI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순천만은 폐쇄를 검토 중이다. 정부는 전국 가금류, 관련 종사자 차량 물품 등을 대상으로 21일 밤 12시까지 48시간 동안 일시 이동중지 명령(스탠드스틸)을 내렸다.
연례행사처럼 찾아오는 AI라지만 확산 차단 노력 여하에 따라 결과는 확연히 다른 만큼 고병원성 AI 피해가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철저한 차단하는 것이 급선무다. 지난해 11월 발생해 올해 4월까지 전국에서 창궐했던 900여 농가에서 AI로 살처분된 오리와 닭이 3,700여만마리가 넘었고, 경제적 손실은 1조원에 달한 것은 반면 교사다. 특히 산란계(알 낳는 닭)에 AI 피해가 집중되면서 계란값이 두 배 가까이 폭등하기도 했다.
AI 방역에서 초동대처의 중요성은 여러 차례 확인됐다. 2003년 처음 AI가 발생해 2014년부터 연례행사처럼 됐지만 피해 최소화 외에는 뾰족한 방법이 없다. 정부와 지자체의 신속한 대응과 함께 사육농민도 AI가 의심되면 머뭇거리지 말고 즉시 신고한다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평창 동계올림픽이 80일밖에 남지 않은 것도 걱정거리다. 올림픽 기간 중 80개국에서 취재진 등 40만명가량의 외국인이 한국을 찾는다. AI가 창궐하면 대회 흥행이나 진행에도 차질을 빚을 수 있고, 국가 이미지도 손상될 수 있다.
철새 이동이 AI 확산의 원인인 경우가 많아, 원천봉쇄나 근본 대책을 강구하기는 어렵다. 이번 AI 발생농가도 철새도래지인 동림저수지와 인접해 있다. 단지 정부와 지자체, 농가가 합심해 적극적 방역으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해야 한다. 지난해에는 정부와 지자체, 농가 등이 서로 엇박자를 내다가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왔다. 다시는 이런 지적이 없도록 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