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원래의 낱말이 어디에선가 줄어들어 짧아지면 ‘준말’이라고 이른다. 예를 들어 ‘사이’가 ‘새’로, ‘마음’이 ‘맘’으로, ‘잘가닥’이 ‘잘각’으로 줄어든 것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준말이 만들어지는 방법이 꽤 다양하다.
앞의 세 가지는 한 낱말 자체에서의 변화인데, ‘○대’(←○○대학교)처럼 두 낱말 이상에서 낱말별로 한 글자씩 뽑아 연결하여 준말을 만드는 경우가 역사도 짧지 않으며 요즘 가장 흔한 것 같다. 예를 들어, ‘경제’는 ‘경세제민’에서 온 말이며, 우리나라를 일컫는 ‘한국’은 ‘대한제국’의 준말로 출발하였다(이런 종류는 특별히 ‘약어’라고 이른다). ‘-대’(←-다고 해)와 같이 서로 다른 말이 결합한 것도 있다. 이런 말들 가운데에는 시간이 흐르면서 아예 다른 뜻이 되어 버린 것이 있다. ‘점잖다’는 ‘젊지 아니하다’가 변한 말이고, ‘귀찮다’는 ‘귀하지 아니하다’가 변한 말이다.
약어 가운데에 정식 명칭의 길이가 긴 기관이나 단체의 이름을 줄이는 방식이 독특하다. 대표적으로 정부 부처 명칭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대개 구성하는 단어의 첫 글자나 그 다음 글자를 조합하면서 마지막의 단위를 나타내는 표현을 남긴다(행정안전부 - 행안부, 농촌진흥청 - 농진청).
유행처럼 지나가는 준말도 많다. 온라인상의 환영 인사였던 ‘어솨요’(어서 오세요), ‘왜 이렇게’의 준말 ‘왜케’, ‘재미 있어’를 줄인 ‘잼써’ 등은 지금도 젊은 세대 사이에서 잘 쓰이는지 의심스럽다. 그러나 ‘퍼온 글’을 뜻하는 ‘펀글’이나 ‘컴퓨터’를 줄인 ‘컴터’ 또는 ‘컴’ 등은 아예 굳어진 듯이 자리를 지키고 있어 보여 대조된다. 이래저래 준말은 흥미로운 현상이다.
김선철 국립국어원 언어정보과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