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외환위기 20년 빛과 그림자] 기업 체질은 개선… “경영환경은 악화”

입력
2017.11.06 15:58
8면
0 0
1,000여 개 중소기업이 가동 중인 경기 안산시 단원구 반월산업단지 일대 전경. 네이버 지도 제공
1,000여 개 중소기업이 가동 중인 경기 안산시 단원구 반월산업단지 일대 전경. 네이버 지도 제공

1997년 외환위기는 오랜 기간 쌓인 고름이 한순간에 터져 나온 기업 발 위기였다. 단기차입을 통한 무모한 투자로 부채비율이 치솟은 부실기업들이 도미노처럼 무너졌다. 원ㆍ달러 환율은 1,995원까지 올라 허리띠를 졸라맨 기업을 벼랑 끝으로 내모는 악순환이 이어졌다.

전대미문의 고강도 옥석 고르기를 통과한 기업들은 살아남아 스스로 체력을 키웠다. 새 출발점에 선 기업들도 환란을 타산지석 삼아 재정건전성과 사업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며 성장을 도모했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997년 400%에 육박했던 국내 제조업의 평균 부채비율은 2005년 이후 안정적인 100% 안팎으로 유지되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일시적으로 부채비율이 상승했지만 고난으로 내성을 키운 기업들에 별 영향을 미치진 못했다. 97년 말 73조원으로 쪼그라들었던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은 지난 3일 기준 1,602조원으로 22배 커졌고, 코스닥 시총도 7조원 수준에서 최근 240조원 이상으로 불어났다.

표면적으로는 기업의 체질 개선이 두드러지지만 정작 기업인들이 느끼는 경영환경은 조금 달랐다. 외환위기 20년을 맞아 본보의 설문조사에 응한 20개 기업 경영진 중 경영환경 변화에 대한 질문에 “좋아졌다”는 답은 고작 4명에 불과했다. “매우 악화됐다”(7명)와 “어느 정도 악화됐다”(2명)를 합치면 부정적인 답변이 절반에 이른다. 7명은 “별다른 변화가 없다”고 했다. A사 관계자는 “노동정책이나 세율 등을 감안하면 경영환경이 개선됐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기업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부 역할에 대한 질문에는 경영환경이 나아지지 않은 이유가 보다 명확히 드러났다. 규제 때문이다.

표본 수가 적긴 하지만 대기업(6명)과 중소기업(6명) 모두 “규제 완화로 기업 자율권 확대”(12명)를 첫손에 꼽았다. 두 번째로 많은 답변도 현 정부 들어 급격히 추진되는 탈원전 정책과 최저임금 인상 등에 대한 반감이 엿보이는 “기업정책 일관성 유지”다. B사 관계자는 “출발이 늦었는데도 중국의 ICT 성장 속도는 이미 국내 기업을 추월했다”며 “기업의 혁신 노력뿐 아니라 정부가 어떤 정책을 주도하고 어떻게 기업을 대하는지가 국가 성장을 이끄는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위기 재발 방지를 위해 기업에 가장 필요한 것을 물은 질문에도 가장 많은 응답(9명)은 “정부와 정치권의 규제 완화”였다. 이외에 대기업은 “4차 산업혁명 대비”(4명), 중소기업은 “신사업 투자 확대”(3명)를 많이 꼽았다.

김창훈 기자 chki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