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벙커 새로 구축한 北 초소… 개풍군의 작은 변화들

입력
2017.10.29 11:30
0 0
[사진 1] 25일 촬영한 북한 군 초소의 모습. 망루 앞쪽(동편)으로 새로운 벙커 시설(출입구 등)이 보인다.
[사진 1] 25일 촬영한 북한 군 초소의 모습. 망루 앞쪽(동편)으로 새로운 벙커 시설(출입구 등)이 보인다.
[사진 2]지난 9월 15일 북한군 병사들이 위장막 뒤편에서 벙커 구축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 2]지난 9월 15일 북한군 병사들이 위장막 뒤편에서 벙커 구축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 3]해당 초소의 2014년 10월 6일 모습. 임진강 줄기가 꺾이면서 남쪽으로 돌출된 강둑에 위치한 이 초소에선 과거 오랜 기간 별다른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사진 3]해당 초소의 2014년 10월 6일 모습. 임진강 줄기가 꺾이면서 남쪽으로 돌출된 강둑에 위치한 이 초소에선 과거 오랜 기간 별다른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북한군이 최근 대남 최전방 초소에 벙커를 새로 구축했다. 25일 경기 파주시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황해북도 개풍군의 한 북한군 초소에서 벙커 출입구와 관측창 등 새로운 대남 경계 시설이 관측됐다(사진 1, 노란 원 안).

약 한 달 전인 9월 15일 해당 초소를 촬영한 두 번째 사진에서는 이 같은 시설이 보이지 않는다. 대신 북한군 병사 10여 명이 망루 주변에서 짐을 나르거나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관측됐다. 당시 북한군은 초소 전면에 설치한 위장막 뒤편에서 벙커 구축 작업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비록 작은 변화이긴 하나 과거 10여 년 이상 변화가 거의 보이지 않던 초소(사진 3)에 경계 및 방어를 위한 벙커가 구축된 것이 최근 고조된 한반도 긴장 상태와 관련이 있는지 주목된다. 일본 아사히 신문은 얼마 전 북한 당국이 군과 비밀 경찰에 실탄을 지급하는 등 ‘준 전시 체제’에 돌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과거 사진과 현재의 모습을 비교해 보니 군 초소 외에 개풍군 임한리와 삼달리 마을에서도 일부 변화가 있었다. 촬영 장비의 발달로 과거 흐릿했 던 장면이 뚜렷하게 관측되기도 했다. 시간이 멈춘 듯 평온해 보이는 북한 농촌 마을의 작은 변화들을 정리했다.  

#1 피폐해져 가는 주민의 삶

북한 지도부가 핵 개발에 몰두하는 사이 주민의 삶은 더욱 피폐해지고 있다. 초망원렌즈를 통해 촬영한 농가의 모습에서도 이러한 현실을 읽을 수 있다. 2012년 9월 25일 비교적 깨끗했던 농가 지붕이 5년 후인 2017년 9월 15일 사진에선 우거진 수풀과 넝쿨로 온통 뒤덮여 있다. 생활고와 식량난 속에서 주거환경을 정돈할 겨를이 없는 북한 주민의 삶이 엿보인다.

추수철 지붕마다 볏짚과 옥수수대가 빼곡히 널려 있는 모습은 과거와 크게 다르지 않다. 공급이 부족한 전기나 석유 대신 겨울철 난방과 취사용으로 쓰기 위해서다. 산업연구원이 지난 3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북한 농촌 주민 대부분이 석유와 전기 대신 볏짚과 옥수수대, 풀대를 취사 및 난방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2012년 9월 25일 촬영한 개풍군 임한리의 모습. 공동주택 뒤편의 단층주택 지붕이 비교적 깨끗하게 정돈돼 있다.
2012년 9월 25일 촬영한 개풍군 임한리의 모습. 공동주택 뒤편의 단층주택 지붕이 비교적 깨끗하게 정돈돼 있다.
2017년 9월 15일 동일한 주택가의 지붕 모습이 확연히 다르다. 우거진 수풀과 넝쿨이 지붕을 뒤덮고 있다.
2017년 9월 15일 동일한 주택가의 지붕 모습이 확연히 다르다. 우거진 수풀과 넝쿨이 지붕을 뒤덮고 있다.
13일 개풍군 임한리의 주택 지붕마다 겨울철 땔감으로 쓸 볏짚과 옥수수대가 널려 있다.
13일 개풍군 임한리의 주택 지붕마다 겨울철 땔감으로 쓸 볏짚과 옥수수대가 널려 있다.
강화 평화전망대에서 본 개풍군 삼달리의 농가 모습. 외벽이 군데군데 헐어 곧 쓰러질 듯 위태로운 가옥에서도 주민이 살고 있다.
강화 평화전망대에서 본 개풍군 삼달리의 농가 모습. 외벽이 군데군데 헐어 곧 쓰러질 듯 위태로운 가옥에서도 주민이 살고 있다.

#2 공동 건물은 신축

개인 주거환경이 갈수록 황폐해지는데 반해 회당 등 공동 시설은 관리와 신축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5년10월엔 보이지 않던 회당 건물이 2년 후인 올해 9월 사진에 등장하고 공동 작업용 건물 역시 그 기간 헐고 옮겨 지었다. 당 구호가 내걸린 건물 외벽도 파란색으로 깨끗하게 칠이 되어 곧 허물어질 듯한 민가주택과 대조를 보인다.  

9월 15일 강화 평화전망대에서 바라본 개풍군 삼달리 마을에 새 건물(노란 원)들이 들어서 있다.
9월 15일 강화 평화전망대에서 바라본 개풍군 삼달리 마을에 새 건물(노란 원)들이 들어서 있다.
같은 지역의 2015년 10월 19일 모습. 앞 쪽의 허름한 공동 작업용 건물은 2년 사이 헐리고 다시 지어졌다.
같은 지역의 2015년 10월 19일 모습. 앞 쪽의 허름한 공동 작업용 건물은 2년 사이 헐리고 다시 지어졌다.

#3 수수께끼 같은 ‘층 낮추기’

2006년 4층이던 임한리 탈곡장 뒤편 공동 주택 건물들이 5년 후 2층으로 내려 앉았다. 그로부터 6년이 지난 올해 9월엔 1층 건물 여러 채가 헐려 있다. 건물 일부를 헐어 층을 낮추는 경우는 국내에선 좀처럼 보기 드물다.  동, 서쪽 하늘을 향하던 공동 주택의 지붕 경사면이 남쪽 방향으로 바뀌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추수철 볏짚 말리기 또는 난방과 관련이 있어 보이나 정확한 이유는 파악할 수 없었다. 남한에서 불과 3~4㎞ 떨어진 북한 선전용 마을의 스카이라인 변천사가 수수께끼처럼 아리송하다. 

2006년 10월 12일 개풍군 임한리. 노란 원 안의 4층 건물은 5년 후 2층으로 낮아졌다.
2006년 10월 12일 개풍군 임한리. 노란 원 안의 4층 건물은 5년 후 2층으로 낮아졌다.
동일한 지역의 2011년 12월 22일 모습. 5년 전 4층이었던 건물이 2층으로 낮아져 있다.
동일한 지역의 2011년 12월 22일 모습. 5년 전 4층이었던 건물이 2층으로 낮아져 있다.
2017년 9월 15일 촬영한 사진. 6년 사이 1층 건물 몇 채가 사라졌다.
2017년 9월 15일 촬영한 사진. 6년 사이 1층 건물 몇 채가 사라졌다.

#4 무너진 대전차 방호벽

해상도 높은 촬영장비의 발달 덕분에 마을 곳곳을 과거에 비해 보다 뚜렷하게 살펴볼 수 있게 됐다. 농가 지붕 등에서 소형 태양광 패널이 관측되거나 군 초소에 설치된 풍력 발전기도 새롭게 눈에 띈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 활용을 독려하며 전력난 극복을 주민들에게 떠넘기고 있는 북한 내 분위기를 알 수 있다(관련기사:전력마저 자급자족… 北 접경마을서 태양광 패널 관측).

개풍군 삼달리와 임한리는 북한의 최전방 마을로 대전차 방호벽이 곳곳에 설치돼 있다. 대전차 방호벽은 도로변에 설치해 놓고 유사시 폭파하면 대형 콘크리트 덩어리가 무너지면서 전차의 이동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13일 촬영된 사진을 보면 삼달리 도로 양 옆에 설치된 대전차 방호벽 중 콘크리트 덩어리 3~4개가 사라지고 없다. 9월 15일 사진에서도 임한리 김일성 사적관 앞 길에서 콘크리트 덩어리가 무너져 뒹구는 모습이 보인다. 

김주영기자 will@hankookilbo.com

박서강기자 pindropper@hankookilbo.com

9월 15일 파주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촬영한 개풍군 북한군 초소. 전기를 자가 발전하기 위한 소형 풍력 발전기가 설치돼 있다.
9월 15일 파주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촬영한 개풍군 북한군 초소. 전기를 자가 발전하기 위한 소형 풍력 발전기가 설치돼 있다.
위 초소에 설치된 풍력 발전기는 최근 북한 노동신문이 자체 생산 장면을 보도한 풍력발전기와 형태가 비슷하다. 사진 연합뉴스
위 초소에 설치된 풍력 발전기는 최근 북한 노동신문이 자체 생산 장면을 보도한 풍력발전기와 형태가 비슷하다. 사진 연합뉴스
개풍군 임한리 농가에 설치된 소형 태양광 패널. 2017년 10월 13일.
개풍군 임한리 농가에 설치된 소형 태양광 패널. 2017년 10월 13일.
9월 15일 개풍군 임한리 김일성 사적관 앞 도로의 대전차 방호용 콘크리트 구조물 일부가 쓰러진 채 방치돼 있다.
9월 15일 개풍군 임한리 김일성 사적관 앞 도로의 대전차 방호용 콘크리트 구조물 일부가 쓰러진 채 방치돼 있다.
개풍군 삼달리 도로변에 설치된 대전차 방호시설. 13일 현재 이가 빠진 듯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 3~4개가 사라져 있다.
개풍군 삼달리 도로변에 설치된 대전차 방호시설. 13일 현재 이가 빠진 듯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 3~4개가 사라져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