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평창, 스포츠복지국가 지름길] (3) 평창 올림픽을 통한 생활체육 발전 기대 효과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평창, 스포츠복지국가 지름길] (3) 평창 올림픽을 통한 생활체육 발전 기대 효과

입력
2017.10.11 14:51
0 0

[한국스포츠경제 정재호]

평창 동계 올림픽 스키 종목이 열릴 경기장/사진=평창 조직위

지난 1월 서울 올림픽파크텔에서는 국회 올림픽특별위원회, 강원도, 대한체육회, 서울대학교, 세계생활체육연맹이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산 심포지엄을 공동으로 열었다. 이 자리에서는 평창올림픽 시설의 사후 활용과 이를 통한 올림픽 운동의 지속적인 발전 방안 등이 논의됐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설정한 사후 활용의 핵심 중 하나는 생활체육 활성화와 연결고리에 있다. 올림픽 시설들을 생활체육으로 넘겨 쓰겠다는 생각은 올림픽 유산이 그리는 이상적인 결과물이다.

거액을 투입해 올림픽 시설물을 지어놓고도 대회가 끝난 뒤 휑하니 흉물처럼 남는 악순환은 올림픽 유치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 IOC는 이를 매우 심각하고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올림픽 시설물의 공공적 활용은 그 특성상 지역 사회와 생활 체육인의 건강 증진을 통한 삶의 질 제고에 목적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지역 주민과 생활체육 동호인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유ㆍ무료 프로그램과 지역 사회의 보건 서비스 제공을 기반으로 한 공익적 성격을 띠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 학교체육, 일반 생활체육 인구의 저변 확대와 국민의 복지 증진을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스키ㆍ아이스하키ㆍ컬링ㆍ빙상 등을 축으로 한국 동계 생활체육 시장은 점차 팽창해나가고 있다.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동계 종목 생활체육 동호인 수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스키는 지역 클럽 460곳ㆍ직장 클럽 22곳 등 모두 482곳에서 1만6,530명이 등록돼 있다. 빙상은 클럽 158곳에 7,425명이고 아이스하키는 2,745명(클럽 73곳)이다.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인기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관심을 받는 컬링은 클럽 30곳에 1,797명이다. 이밖에 스키장 방문객 수는 연 500만명 규모에 달한다.

전 국민의 눈과 귀가 쏠릴 평창올림픽은 걸음마 단계인 국내 동계 생활 스포츠의 저변 확대에 기름을 붓는 결정적인 터닝 포인트가 될 수 있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및 동계패럴림픽 조직위원회 관계자는 “평창은 기본적으로 동계 스포츠 시설이므로 사후 활용 계획만 잘 잡는다면 동계 스포츠와 관련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즐길 환경이 마련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체육회 관계자는 “시설물은 대한체육회의 것이 아니지만 관리 주체가 될 지자체(지방자치단체)에서 국민들이 보편적으로 즐기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시설을 활용하면 생활체육 인구는 자연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올림픽을 통해 저변이 확대되면 인원이 늘어나고 사설 시설도 증가하는 것이다. 그렇게 생활체육이 활성화하면 관련 대회들이 만들어지고 가맹단체도 활기를 띠게 된다. 여러 가지 산업이 함께 발전하는 선순환을 체육회는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넘어야 할 과제도 있다. 스포츠문화연구소장인 이대택 국민대 교수는 “올림픽에서 성공을 거둔 경우에는 공통점이 있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인프라와 대도시 마켓이라는 것이다. 투자를 최소화하면서 기존 시설을 이용했기 때문에 추가 비용이 많이 들지 않았다. 그러나 평창은 새로운 시설물을 만들었고 인구가 별로 없다. 동계 올림픽이어서 시즌이 제한돼 있는 것도 올림픽 이후 생활체육을 활성화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그러면서도 평창의 시설 유산을 꼭 동계 생활체육으로만 한정 짓지는 말자고 조언했다. 그는 “억지로 시설물을 활용하려는 노력보다는 시설물의 유지ㆍ관리비를 최소화하고 다른 용도로라도 써야 된다. 일단 선택의 첫 번째는 생활체육이다. IOC의 올림픽 유산 중 하나가 생활체육이다. 개인적으로 빙상장을 빙상장으로만 영원히 써야 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스케이트 경기장을 추후 배드민턴장이나 신종 스포츠, 강원도와 관련된 스포츠를 유치해 활용하는 장소 등의 다용도 문화 시설ㆍ생활체육 시설로 개조해 쓰면 된다”며 “예를 들어 요즘 뜨는 드론 경기장도 좋다.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설 공간이라면 종목에 관계없이 생활체육 활성화 장소로 쓰면 된다. 그 공간이 방상장이었다는 상징성만 유산에 남기고 ‘평창에 가면 이런 시설도 있구나’하는 인식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심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정재호 기자 kemp@sporbiz.co.kr

[한국스포츠경제 관련기사]

[HS포토] 뉴이스트W, 가을 감성에 젖게하는 네 남자~

선동열 감독 “첫 상대 일본도 안 뽑는 와일드카드, 우리도 안 뽑았다”

[스타와 행복] (36) KLPGA 김지현 “웃어야 행복해지니 웃으려고 노력해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