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한강, NYT에 기고문
한반도 긴장 상황 우려 담아
지난해 한국 작가 최초로 세계 3대 문학상인 ‘맨부커상’을 수상한 소설가 한강(47)이 북미갈등으로 고조된 한반도 긴장상황을 마주한 한국인들의 심정을 담은 글을 7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기고했다.
‘미국이 전쟁을 언급할 때 한국은 몸서리친다’는 제목의 글은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자 전쟁 우려에 은행에서 돈뭉치를 찾아오다 절도 피해를 본 노인의 사건으로 시작한다. 한강은 “1950년 한국전쟁 발발부터 그 노인은 줄곧 전쟁을 체험했을 것”이라며 "평범한 중산층으로 살아온 그가 돈을 찾으러 은행에 가는 길이 어떤 느낌일지 상상이 된다”고 했다.
그는 이어 “나는 그 노인과 달리 한국전쟁을 겪지 않았다”며 전쟁 후 철저히 단절된 남북한의 실태와 그에 따른 한국인들의 인식을 소개했다. 한강은 그러나 전쟁의 공포는 한국인들의 깊숙한 내면에 숨어 단조로운 대화 속에서도 갑자기 불쑥불쑥 모습을 드러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자택이나 직장에서 가까운 방공호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명절 선물로 전쟁을 대비한 '서바이벌 배낭'을 준비하는 등의 최근 한국 풍경을 사례로 들었다.
한강은 두려움을 안고 사는 한국인들이 짐짓 평온한 모습을 견지하는 이유도 해석했다. 그는 “극한의 환경에서도 한국인들이 조심스러운 평온과 균형을 유지하려 노력하는 한 가지 이유는 북한의 존재를 세계 다른 지역들보다 더 구체적으로 안다는 데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독재정권 억압을 겪은)우리가 독재정권과 그 아래서 고통 받는 이들을 자연스럽게 구분해 선과 악 양분법을 넘어 전체적인 시각으로 환경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강은 특히 한국전쟁이 이웃 강대국들이 저지른 대리전이었다며 “한국은 하나만 안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말에 한국인들이 뚜렷하게 아는 게 한 가지가 있다고 맞받았다. 그는 “우리는 평화가 아닌 어떤 해결책도 의미가 없고, 승리는 공허하고 터무니없으며 불가능한 구호일 뿐이라는 걸 안다”며 “또 다른 대리전을 절대로 원하지 않는 사람들이 지금, 여기 한반도에 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태무 기자 abcdefg@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