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가동 막을 뾰족한 방법 없어
입주기업들 추가 재산피해 우려에 속앓이
북한이 개성공단 내 의류공장을 멋대로 재가동하자, 한국 입주기업들이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유ㆍ무형의 추가 재산 피해를 막기 위해 대응에 나서기로 한 것이지만, 어떤 대책이나 입장을 내놓더라도 현실적으로 북한의 무단 공장 가동을 제재할 마땅한 수단이 없어 결국 기업들 피해만 늘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개성공단기업협회는 11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내 사무실에서 비공개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북한의 공단 재가동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지난 3일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중국의 대북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이 개성공단 내 19개 의류공장을 은밀히 가동 중”이라고 보도하고, 북한의 대외선전 매체 ‘우리민족끼리’와 ‘메아리’가 6일 '개성공업지구에서 일하고 있는 근로자들의 당당한 모습'을 거론하면서 "공장들은 더욱 힘차게 돌아갈 것"이라고 밝혀 개성공단 재가동을 사실상 인정한 데 따른 것이다.
신한용 개성공단기업협회장은 "우리 정부와 북한에 어떤 입장을 표명할지를 회의 때 결정하겠다"며 "북한의 무단 가동은 개성공단 폐쇄를 결정한 정부가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새 정부가 들어섰음에도 개성공단 재개 움직임이 보이지 않는 점을 언급하며 “입주사들이 집회 등 단체 행동을 할지를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정부도 "북한은 개성공단 내 우리의 재산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지만, 북한은 8일 대외선전매체 '조선의오늘'을 통해 "개성공업지구는 명백히 우리 주권이 행사되는 지역이고 따라서 거기서 우리가 무엇을 하든 괴뢰들이 상관할 바가 아니다"며 “우리의 공업지구 공장들은 더욱 힘차게 돌아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개성공단 입주사들은 지난해 2월 개성공단 가동이 중단된 후 입주사의 3분의 1이 폐점ㆍ휴업 상태로 고사 직전이고, 확인된 피해 금액만 7,000억∼8,000억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협회 관계자는 "북한은 원칙적으로 우리와 상의 없이 공장을 재가동할 수 없고, 공단 폐쇄 직후 단전, 단수까지 이뤄졌다"며 "공단이 재가동됐다면 공단 조성 이후 처음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박민식 기자 bemyself@hankookilbo.com
권경성 기자 ficcione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