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북 미사일 발사 즉각 규탄하며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
트럼프, 11월 아시아 방문 공식화
중국과 ‘북핵 담판’ 벌일 듯
미국은 14일(현지시간)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즉각 규탄하면서 중국과 러시아에 더욱 강도 높은 대북 제재를 촉구했다. 미국 정부는 미사일 발사 직후 한국 및 일본과 협의 채널을 가동하면서 긴박한 움직임을 보였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를 소집키로 해 추가 대북 제재 결의를 예고했다. 북한의 잇단 도발 속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월 한국, 일본에 이어 중국 방문에 나섬에 따라 북핵 해법을 두고 미중간 담판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북한의 미사일 도발 후 약 1시간 15분여 만에 존 켈리 비서실장으로부터 관련된 상세 보고를 받았다고 백악관은 밝혔다. 북핵 대응 차원에서 워싱턴을 떠나 있던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과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은 즉각 대북 규탄 목소리를 내는 한편, 한국 및 일본과 통화를 갖고 대응책을 신속히 논의했다.
북핵 공조를 위해 영국을 방문한 틸러슨 국무장관은 북한 미사일 발사 직후 성명을 내고 “중국은 북한에 석유 대부분을 공급하고 러시아는 북한 강제노동의 최대 고용주”라며 “중국과 러시아는 그들 자신만의 직접적인 행동을 통해 이런 무모한 미사일 발사를 참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틸러슨 장관은 이어 “가장 최근 만장일치로 채택된 제재 결의를 포함한 유엔 안보리 결의들은 우리가 취해야 할 행동의 천장이 아닌 바닥을 보여준다”며 추가적인 제재 조치를 촉구했다. 앞서 틸러슨 장관은 이날 보리스 존슨 영국 외무장관과 회담 뒤 “중국이 북한을 설득하기 위해 원유 공급 중단이란 강력한 도구를 그들 스스로 사용하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 같은 미국의 중국 대북압박 촉구에 중국은 북한 미사일 도발을 비판하면서도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았다. 15일 화춘잉(華春瑩) 외교부 대변인은 틸러슨 장관의 발언에 대해 “중국은 엄격히 안보리 결의를 이행하고 있고 이를 위해 큰 대가를 치르고 있다”라며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 수호를 위해 국제 의무를 다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해 미군의 핵 전력을 점검하는 ‘핵 투어’에 나선 매티스 국방장관은 네브래스카주 오마하 미군 전략사령부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무분별한 행동”이라며 “수백만의 일본인을 피난처로 꼭꼭 숨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유엔 안보리는 미국과 한국, 일본의 요청에 따라 15일 오후 3시 긴급회의를 갖는다. 11일 새 대북제재 결의 2375호를 채택한 지 나흘 만에 다시 강도 높은 대북 제재 논의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이 북한의 추가 도발을 계기로 중국을 직접 겨냥해 원유공급 중단에 초점을 맞춤에 따라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방문이 대북 제재의 분기점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허리케인 피해지역인 플로리다주를 방문한 뒤 돌아오던 전용기 안에서 11월에 한국과 중국, 일본을 방문하게 될 것이라며 아시아 순방을 공식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및 일본과 대북 제재 방안을 조율한 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과의 회담에서 북한의 숨통을 죄는 초강경 대북 제재에 대한 담판을 지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그간 중국이 대북 제재에 협조하지 않으면,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기업과 은행 등에 대한 고강도 제재 조치를 경고해왔다. 중국이 이를 거부하면 북핵 문제는 미중간 무역 전쟁으로 비화할 수 있지만, 대북 제재의 마지막 카드로 꼽히는 원유공급 중단이 관철된다면 북핵 문제도 새로운 국면을 맞을 수 있다. 미 하원 금융위원회는 북한의 국제 금융망 접근 차단을 위해 북한 금융기관과 거래한 제3국 금융기관을 제재하는 법안상정을 검토하고 있다고 이날 미 언론들이 보도했다. 미국이 중국에 대해 대북 영향력 발휘를 끊임없이 요구하면서 상황에 따라 강력한 경제적 압박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신호를 계속해서 발산하는 것이다.
워싱턴=송용창 특파원 hermeet@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