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주댐에 발생한 녹조 등 수질악화 현상을 두고 한국수자원공사와 환경단체가 공방을 벌이고 있다.
내성천보존회는 8일 보도자료를 통해 “영주댐이 녹조현상으로 수질이 악화한 것을 두고 수자원공사가 ‘담수초기 담수지에 있던 농경지의 비료 등에 의한 일시적 현상이고 개선이 가능하다’고 주장한 것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내성천보존회에 따르면 영주댐은 지난해 7월 시험담수 때 녹조가 발생했고 1년이 지난 7월에도 심각한 녹조가 발현했다. 이 같은 현상은 영주댐 유역 농경지에서 질소와 인 성분을 포함한 비료와 퇴비가 많이 살포되고 비에 의해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댐 주변에서 폭발적으로 남조류가 번성한 때문이다.
수자원공사가 지난 7월13일 측정한 자료에는 영주댐 수질이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이 12.2ppm으로 공업용수로도 사용하지 못할 정도였다.
녹조 현상은 댐 상류 15㎞ 지점에 설치된 보조댐인 유사조절지(모래차단댐), 댐 하류 13.5㎞ 지점인 예천군 보문면 우래교 일대에서도 확인된다.
보존회 측은 “댐이 건설되기 전 내성천 유역은 예전부터 축사와 농경지가 많았지만 항상 1급수를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물이 흐르고 있었기 때문”이라며 “영주댐은 지어져선 안될 댐”이라고 말했다.
이에대해 수자원공사 측은 “담수 초기 강우에 농경지 오염물질이 한꺼번에 휩쓸려 댐으로 유입돼 녹조가 발생했으며 3년 정도 안정화 기간을 거치면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본다”고 반박했다.
이용호기자 lyho@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