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직장인들의 1주일 평균 야근 일수는 2.5일로 조사됐다. 기업형태에선 ‘대기업’, 직무별로는 ‘연구개발직’, ‘직급별로는 ‘부장급’ 직장인들의 야근이 많았다.
1일 취업 포털 업체인 잡코리아에 따르면 최근 국내 직장인 1,01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서 이 같이 나타났다. 야근 빈도를 묻는 질문에선 ‘자주 한다’(46.3%)와 ‘가끔 한다’(39.2%)고 답했다. 하지만 ‘거의 안 한다’는 답변은 14.5%로 낮았다.
‘야근을 자주하는가’란 빈도와 관련된 질문에선 ▦대기업(54.5%), ▦중견기업(51.6%), ▦중소기업(44.5%) 등의 순이었다. 야근 빈도는 기업 규모와 비례한 셈이다. 반면 야근을 ‘거의 안 한다’는 답변은 ▦외국계기업(20.8%)과 ▦공기업(20.5%)에서 높았다.
야근이 많은 직무로는 ▦연구개발직(58.3%)과 ▦디자인직(53.2%), ▦기획직(52.5%), ▦정보기술(IT)ㆍ시스템운영직(51.6%) 등의 순이었다. 야근이 적은 직무로는 ▦판매서비스(38.1%)와 ▦고객상담/TM(30.0%) 분야가 꼽혔다.
직급별로는 ▦부장급(55.3%), ▦과장ㆍ차장급(50.6%), ▦주임ㆍ대리급(47%), ▦사원급(42.2%)등의 순으로 야근을 많이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야근의 필요성에 대해선 응답자의 69.6%가 ‘당연하지 않다’고 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근을 해야 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업무 특성상 야근이 불가피하다’(43.9%), ‘일이 많아 근무시간 내에 끝낼 수 없다’(38.6%), ‘갑자기 발생하는 예측불허 업무들 때문에’(26.2%), ‘야근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상사, 기업문화 때문에’(25.8%)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직장인들의 야근 평균 시간은 ‘2시간30분’으로 집계된 가운데 대기업(2시간40분), 중견기업(2시간36분), 중소기업(2시간24분) 등의 순이었다.
한편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 중 37.7%만이 회사에서 야근(초과근무) 수당을 지급 받고 있다고 답했다. 늦은 시간까지 야근을 할 경우 회사에서 퇴근 교통비를 지원한다는 답변 역시 26.7%로 저조했다. 허재경 기자 ricky@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