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드론공항, 물류로봇 등 활용
이용량 6년간 8배 급성장
한국은 “차량이 비용 싼데…”
미래 먹거리 시장 내줄 판
#중국 택배기업 순펑(順風)은 2013년부터 무인기(드론) 배송 테스트를 거듭해 올 2월까지 드론 분야에서 111개의 특허를 취득했다. 지난달엔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시와 드론 기지 프로젝트 협약을 체결하는 등 향후 대형 드론으로 중국 중서부 물류를 처리할 예정이다.
#중국 전자상거래기업 징둥(京東)은 최근 쓰촨성에 185개의 드론 공항을 건설했다. 쓰촨성 제품을 중국 모든 도시에 단 24시간 안에 배송하기 위해서다. 시안(西安)의 우주기지엔 향후 5년간 205억 위안(약 3조4,600억원)을 투자, 무인시스템산업센터와 클라우드운영센터 등도 구축할 계획이다.
중국 택배산업이 과거 단순 노동력 위주였던 방식에서 탈피해 배송 드론과 물류 분류 로봇, 클라우드 물류창고 등을 활용한 첨단산업으로 빠르게 변신하면서 중국경제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반면 국내 드론 물류배송은 규제와 기술 부족 등에 막혀 여전히 걸음마 수준이어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28일 한국무역협회가 발표한 ‘중국의 택배시장 발전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택배시장 규모는 올해 5,165억 위안으로 잠정 집계돼, 2011년(758억 위안)에 비해 약 7배 성장했다. 2011년 중국 내 택배 이용건수도 2011년 1인당 2.7건에 불과했던 것에 비해 지난해엔 22.6건으로 8배 이상 늘었다.
중국 택배시장의 급성장은 온라인 쇼핑성장이 힘입은 덕이 크지만 택배기업들이 앞다투어 설비투자에 나서며 첨단기술을 적극 채용하며 소비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킨 것도 중요하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심윤섭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 차장은 “택배기업의 첨단 서비스로 제품 구매가 점점 신속 편리해지면서 전반적으로 소비와 생산에도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며 “농촌과 도시 간 유통 활성화에 도움이 되면서 지역격차 해소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택배기업 선퉁(申通)은 저장(浙江)성 이우(義烏)시에 만든 스마트 창고에선 350개의 택배 분류 로봇 ‘쇼황런’(小黃人)’이 하루 60만건의 택배를 처리해 기존 인력 70%를 절감할 수 있었고, 바이스(百世)도 중국 100개 중점 도시에서 170개의 클라우드 물류창고를 건설했다. 클라우드 물류창고에선 고객들의 주문 데이터를 분석, 수요를 예측해 재고와 배송 우선순위 조종을 통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무협 관계자는 “중국 택배기업들은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미국, 유럽 등 해외시장까지 진출하고 있다”며 “국제 배송서비스가 중국기업들에 의해 재편될 날이 머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반면 국내 기업들의 드론 배송을 가로막던 정부 규제는 지난 7월에서야 완화됐다. 정부는 당시 ▦드론의 6개월 단위 장기비행 승인 도입 ▦비행승인 면제범위 확대(12㎏→25㎏ 이하) 등으로 시행규칙을 개정했다. 뒤늦게나마 미국, 중국 등과 비슷한 수준으로 규제가 완화된 것이지만, 드론 배송 상용화까진 갈 길이 멀다. 드론 핵심기술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데다 사업 수익성도 떨어져 기업들의 투자에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처럼 좁은 영토에선 택배용 차량이 드론 배송보다 아직까지는 물류비용이 적게 들어, 정부가 연구개발(R&D) 지원에 나서기 전엔 기업들도 선뜻 선행 투자에 나서지 않는다”며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드론 배송이 훨씬 저렴해져, 미래 택배시장의 표준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정부가 나서 관련 기술 개발과 도입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지 않으면 국내 택배시장을 중국업체에 내주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현우기자 777hyunwoo@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