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옥자’는 생선 안 먹는 청학동 내성적인 여자 돼지”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옥자’는 생선 안 먹는 청학동 내성적인 여자 돼지”

입력
2017.08.26 11:19
0 0
영화 ‘옥자’의 음향 제작을 총괄한 영화 음향 스튜디오 라이브톤 최태영 이사. 경기 고양시 장항동의 작업실에서 사진 촬영을 위한 포즈를 취했다. 영화 한 장면을 스크린에 쏴 배경으로 썼다. 최지이 인턴기자.
영화 ‘옥자’의 음향 제작을 총괄한 영화 음향 스튜디오 라이브톤 최태영 이사. 경기 고양시 장항동의 작업실에서 사진 촬영을 위한 포즈를 취했다. 영화 한 장면을 스크린에 쏴 배경으로 썼다. 최지이 인턴기자.

봉준호 감독이 카카오톡으로 보낸 ‘찰흙 옥자’ 사진

2013년 경기 고양 아쿠아 스튜디오. 영화 음향 스튜디오 라이브톤의 최태영 이사가 ‘옥자’를 처음 본 건 ‘해무’의 촬영장에서였다. ‘해무’를 제작했던 봉준호 감독이 손에 든 아이패드를 통해서다. 봉 감독은 자신이 직접 스케치한 ‘슈퍼 돼지’ 옥자의 그림을 최 이사에 슬쩍 보여줬다. “사운드 생각 좀 해 달라”는 요청이었다.

1년여가 흘러 2014년 11월 26일. 봉 감독은 최 이사에게 찰흙으로 만든 옥자의 사진 두 장을 카카오톡 메신저로 보냈다. 최 이사는 아이의 눈망울에 하마의 입을 닮은 돼지의 모습이 낯설지만 따뜻해 보였다고 했다. 봉 감독은 최 이사에게 “옥자는 굉장히 내성적이고 여성적”이라고 소개했다. 덩치는 ‘산’만 한 옥자가 좋아하는 건 홍시다. 채식을 즐기는 돼지는 생선은 입에도 대지 않는다. 강원도 산골에서 순박하게 자란 옥자는 소녀 미자(안서현)와 어려서부터 함께 자랐다. 유전자 조작으로 태어난 돼지지만, 인간적이란다.

영화 ‘옥자’의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영화 ‘옥자’의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뉴질랜드에서 ‘옥자’ 소리 찾은 이유

최 이사는 머리가 아팠다. 세상에 없는 동물의 목소리를 감독의 상상력에만 의존해 소리를 만들어야 한다니. 중요한 건 ‘옥자’의 목소리였다. 최 이사는 뉴질랜드 음향 엔지니어에게 S.O.S를 쳤다. 전작인 ‘설국열차’(2013)에서 음향 작업을 함께 한 뒤 친해진 동료였다. 옥자의 모형 사진을 본 외국 엔지니어는 바로 뉴질랜드 토종 돼지(쿠니쿠니)를 떠올렸다. 최 이사에게 “옥자처럼 귀엽다”며 바로 현지 돼지 소리 채집에 나섰다. 뉴질랜드국립동물원에 가 하마와 코뿔소 소리도 함께 녹음했다. 옥자의 큰 체격을 고려한 채집이었다. 채집부터 녹음까지 작업 기간만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4개월이 걸렸다.

뉴질랜드에서 돼지 소리 채집 작업이 이뤄졌다면, 한국에선 사람 목소리 녹음 작업이 진행됐다. 봉 감독은 옥자 소리에 사람의 목소리가 들어가길 원했다. 미자 등과 교류할 때 인간적인 소리를 내고 싶어서다.

봉 감독은 최 이사에게 배우 이정은을 추천했다. 최 이사는 “이정은 씨가 고생을 많이 했다”며 웃었다. 이정은 ‘옥자’의 컴퓨터그래픽(CG)가 완성되지 않았던 지난해 12월에 상상에만 의존해 첫 녹음 작업을 했다. 숨을 들이마신 뒤 킁킁 소리를 내야 하는 데 특히 애를 먹었다. 호흡량이 달리기도 했지만, 숨을 들이켜면서 소리를 내기가 쉬운 일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한 번에 3~4시간씩 거친 돼지 소리를 내다 보니 체력도 금세 떨어졌다. 이정은은 CG가 완성된 후인 지난 1월 추가 녹음을 끝냈다. 옥자가 산에서 내려오다 밤송이 가시에 찔려 앓는 소리 등이 이정은이 낸 목소리다. 옥자가 도살장에 끌려가는 장면에서 내는 소리는 실제 돼지 소리다.

영화 ‘괴물’의 한 장면.
영화 ‘괴물’의 한 장면.

“’왜 나한테만 X랄이야!’” ‘괴물’ 비명 나오기까지

최 이사는 봉 감독 영화의 ‘음향 공장장’이다. 봉 감독의 장편 영화 데뷔작 ‘플란다스의 개’(2000)부터 그의 모든 작품에서 음향 작업을 도맡았다. 봉 감독의 첫인상은 어땠을까. 최 이사는 17년 전 일을 또렷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극중 아파트 지하 배관이 있는데, 그 배관 소리를 변희봉 선생님 대사에 맞춰 다르게 내달라는 거예요, 나 참.” 최 이사는 “그땐 정말 죽는 줄 알았다”며 웃었다.

음향 감독으로서 제일 어려운 일은 “감독의 상상을 소리로 객관화는 일”이다. 봉 감독의 ‘괴물’(2006)과 ‘설국열차’의 작업이 특히 고됐다. 세상에 없는 실체의 소리를 감독의 주관에 의지해 소리를 조합하고, 관객을 설득해야 하기 때문이다.

영화 ‘설국열차’ 한 장면.
영화 ‘설국열차’ 한 장면.

최 이사는 ‘설국열차’에서 열차 소리에 원숭이와 돼지 울음 소리를 섞어 썼다. 동물의 고음 비명을 넣어 생명력을 주고 비극을 암시하기 위해서다.

최 이사에 따르면 봉 감독은 ‘괴물’에서 강두(송강호)가 환경 오염으로 돌연변이가 된 괴물을 쇠파이프로 찔렀을 때 포효하는 소리를 영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신경 썼다. 그러고 나선 다음과 같은 요구를 했다고 한다.

“‘X발 (너희 오염물질 먹고 나도 몸이 변형돼 이렇게 사는) 나도 피해잔데, 왜 나한테만 X랄이야!’라며 쓰러지는 소리를 만들어주세요.”

양승준 기자 comeon@hankookilbo.com

최태영 사운드톤 이사는 봉준호 감독의 데뷔작 ‘플란다스의 개’부터 그와 작업을 함께 했다. NEW 제공
최태영 사운드톤 이사는 봉준호 감독의 데뷔작 ‘플란다스의 개’부터 그와 작업을 함께 했다. NEW 제공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