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 독립유공자 58명’에 해외국적자 6명은 빠져
“생존해 계신 독립운동가가 63명이 맞나요, 58명이 맞나요?”
최근 독자로부터 이런 질문을 받았다. 14일 본보 광복절 기획 기사(‘광복 영웅’ 발굴, 더 지체할 시간이 없다)에서 밝힌 생존 독립운동가 수는 63명인데 반해, 문재인 대통령이 같은 날 독립유공자ㆍ유족 초청 청와대 오찬 중에 언급한 수는 58명이라는 것이다. 한 달 가까이 기획을 준비하면서 국가보훈처와 광복회를 통해 수 차례 확인하고 생존 애국지사 명단까지 확보했던 터라 고개가 갸우뚱해졌다.
16일 추가 취재를 통해 확인한 사실은 이렇다. 문 대통령이 말한 ‘생존 애국지사 58명’에는 현재 생존해 있지만 시민권 획득 등으로 국적을 상실한 독립유공자 6명이 빠졌고, 지난달 28일 별세한 항일학생운동가 출신 김영찬 애국지사는 포함돼 있었다. 전자는 정부가 해외국적자는 독립유공자로 섬기지 않겠다는 오해를 살 소지를, 후자는 청와대가 애국지사 부음을 제대로 챙기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충분하다.
보훈처에 따르면 문 대통령이 빠뜨린 6명도 현재 정부로부터 보훈급여를 받고 있다. 이를 감안하면 문 대통령 발언을 통해 드러난 생존 애국지사 현황에 대한 오류는 청와대 참모진이 팩트(fact)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빚어진 실수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 사소할 수도 있는 팩트 오류가 “새 정부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일 중 하나가 보훈정책을 제대로 하는 것”이라는 문 대통령의 선언에 ‘옥에 티’를 남기고 말았다.
문 대통령이 광복절을 맞아 발표한 보훈정책은 파격적이다. 형편이 어렵지만 보훈급여를 못 받는 독립유공자의 모든 자녀와 손자녀를 위한 생활지원금 사업에 500여억원을 투입하겠다는 게 대표적이다. 독립운동가 후손 가운데 선(先)순위 1인에게만 지급되는 현행 보상금 제도의 사각지대를 보완하겠다는 것이다. 또 “2019년은 대한민국 건국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뜻 깊은 해”라며 보수정권 집권기 건국절 논란으로 상처 입은 독립유공자들을 다독이기도 했다.
보훈처 위상을 장관급으로 격상한 문재인 정부의 보훈정책에 대다수 국민이 기대하는 바가 크다. 이에 부응하는 첫 걸음은 생존 애국지사를 더 세심히 섬기고, 별세한 독립운동가의 부음을 제대로 기리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정승임 기자 chon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