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여성 취업자 수가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고용계약기간 1년 미만의 여성 근로자 비중이 30%에 달하는 등 고용의 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여성 취업자 수는 총 1,148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18만1,000명 증가했다. 이는 통계청이 남성과 여성을 분리해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82년 이래 가장 많은 것이다.
여성 취업자를 연령대별 비중으로 살펴보면 40~49세(23.8%), 50~59세(22.7%), 30~39세(18.8%), 20~29세(17.2%), 60세 이상(16.2%)의 순이었다. 이를 남성의 연령대별 비중과 비교하면 20~29세와 60세 이상에서 남성보다 높았다. 20대와 60세 이상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일하고 있다는 뜻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20대와 60대를 제외한 연령대에서 여성 취업자 비중이 (남성보다) 낮은 것은 이른바 ‘경력단절여성’ 효과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여성 취업자의 일자리 질이 남성보다 떨어진다는 데 있다. 지난달 전체 임시근로자(고용계약기간 1개월 이상~1년 미만)는 509만6,000명으로, 이중 남성이 202만명, 여성은 307만5,000명이었다. 성별로 전체 근로자 중 임시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여성은 26.8%에 달했지만, 남성은 13.1%에 불과했다. 여기에 일용근로자(고용계약기간 1개월 미만)까지 고려하면 이 비율은 여성이 31.7%, 남성 19.6%로 더 높아지게 된다. 여성 10명 중 3명은 비정규직과 같이 안전성이 떨어지는 일을 하고 있는 셈이다. 반면 상용근로자(고용계약기간 1년 이상) 비중은 남성(53.1%)이 여성(45.1%)보다 높았다. 세종=박준석 기자 pj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