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제조업 평균 가동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30일 통계청에 따르면 4~6월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1.6%에 그쳐, 1분기(72.8%)보다 1.2%포인트 하락했다. 분기 기준으로 보면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본격적으로 한국을 덮친 2009년 1분기(66.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매년 2분기만 놓고 봤을 때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 위기가 한창이던 1998년(66.4%) 이후 최저치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한 나라의 생산능력에 비해 실제 생산이 얼마나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수치다. 평균가동률이 낮다는 것은 수출과 내수(국내 소비)에서 그만큼 제조업 생산품의 수요가 부진하다는 뜻이다. 연간 기준으로 봐도 2011년(80.5%) 이후 2012년 78.5%, 2013년 76.5%, 2014년 76.1%, 2015년 74.5%, 지난해 72.6% 등 매년 떨어지고 있다.
제조업 내에서도 반도체 등 수출 주력 업종과 일반 제조업 간 양극화 현상이 컸다. 제조업 전체 생산능력지수(2010년=100)는 2분기 112.8을 기록했는데, 반도체는 256.5로 고공행진 중인 반면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조선업 포함)은 105.1에 그쳤다.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99.6)과 섬유제품 제조업(92.8)은 7년 전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는 산업 양극화로 반도체 등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일부 업종은 대호황이지만 대부분 업종은 구조조정 등 어려운 상황에 처해 공장을 못 돌리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세종=이영창 기자 anti092@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