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중풍’이라는 망막동맥폐쇄는 여러 원인에 의해 망막 혈관이 막히거나 파열돼 시력이 떨어지는 질환이다. 가장 큰 원인은 고혈압이고, 동맥경화, 당뇨병 혈액질환 등에 의해 발생한다.
눈의 시세포가 있는 망막에는 동맥과 정맥이 있다. 망막동맥이 시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해 시각적 기능을 유지한다. 망막동맥이 막히면 망막 신경세포로 산소공급이 차단돼 세포가 파괴되며 급격히 시력이 떨어진다.
급격한 시력 저하를 단순히 눈 문제로 여기기 쉽지만, 대부분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심장질환 등의 뇌졸중 위험인자를 가진 경우가 많아 뇌혈관 건강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망막중심동맥폐쇄로 인한 시력 소실 발병률은 매년 인구 10만명당 2명꼴이다. 나이가 많을수록 늘어나 80세 이상에서는 매년 인구 1만명당 1명으로 알려져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한문구(신경과)ㆍ우세준(안과) 교수팀은 국내 최초로 망막혈관폐쇄 병인과 그에 따른 뇌경색 및 혈관질환의 발생을 추적 조사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2003년 9월~2013년 6월 급성 망막동맥폐쇄로 분당서울대병원에 내원한 환자들 중에서 뇌 자기공명영상(MRI)과 자기공명혈관조영(MRA) 등 영상검사와 혈관성 위험인자 검사를 시행한 151명을 분석했다.
그 결과, 망막동맥폐쇄 환자 151명 중 87명(58%)이 고혈압을, 35명(23%)이 당뇨병을, 35명(23%)이 이상지질혈증을 앓고 있었다. 즉, 망막동맥폐쇄 환자가 뇌경색과 같은 위험인자를 갖고 있음을 뜻한다. 또한, 망막동맥폐쇄가 발생하기 전에 16명의 환자(10.6%)가 이미 뇌졸중과 일시적인 허혈발작을 경험했다.
망막동맥폐쇄 발생 1년 이내 10% 환자에서 뇌경색이 발생했으며, 발생한 뇌경색 대부분이(57%) 망막동맥폐쇄 1개월 이내 발병했다.
외국 연구결과와 달리 대뇌혈관동맥경화증 환자(40%)가 많았으며, 이런 환자에서 후속 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4배 이상 높았다.
따라서 망막동맥폐쇄로 시력이 갑자기 떨어지면 10명 중 1명 비율로 뇌경색이 발생하며, 대부분 망막동맥폐쇄 발생 1개월 이내 뇌경색이 생긴다.
한 교수는 “한쪽 눈의 시력이 갑자기 떨어지면 망막동맥폐쇄를 빨리 진단하고 원인을 조사해 조기 치료하는 것이 뇌경색 발생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고 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인 ‘플로스 원(PLOS ONE)’ 최신호에 실렸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