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직계열화는 극장산업 성장의 견인차인가, 스크린독과점 논란을 일으키는 원흉인가. 새 정부 들어 영화 배급ㆍ상영 분리 방안이 거론되는데 대해 극장업계가 강한 거부감을 보였다.
서정 CGV 대표는 18일 서울 CGV 용산아이파크몰 개관에 맞춰 열린 ‘2017 영화산업 미디어 포럼’에서 “대기업의 수직계열화와 스크린독과점에 대한 문제 제기가 많은데 수직계열화가 그렇게 문제인지 반문하게 된다”면서 “’1948년 미국의 파라마운트 판결’을 들어 배급ㆍ상영 분리를 주장하고 있는데 사문화된 70년 전 법으로 지금의 한국 영화산업을 재단하는 것이 과연 옳은가”라고 비판했다.
‘1948년 파라마운트 판결’이란 주요 메이저 스튜디오들이 자사 제작 영화를 자사 소유 극장에 먼저 개봉하는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영화 제작ㆍ배급ㆍ상영을 수직적으로 통합한 것이 독점 금지 위반이라 판결한 것을 말한다. 이 판결로 인해 파라마운트, 워너브라더스 등은 소유하고 있던 극장을 팔아야 했다.
서 대표는 “산업과 기술의 변화 속도를 법이 따라갈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규제와 통제는 한국 영화 산업의 위축을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수직계열화에 대한 전격적인 규제는 “해외 시장 진출에도 도움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서 대표는 “우리 영화 산업이 국내에만 안주할 것인지 아니면 세계로 나아갈 것인지, 공론화할 수 있는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싶다”고 말했다.
동시에 건전한 영화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도 찾겠다 제안했다. 서 대표는 “영화 생태계의 건강성은 우리의 숙제”라면서 “영화의 다양성 보장을 위해 저예산ㆍ독립 영화에 대한 관심을 쏟아야 하고 CGV가 일정 부분 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예술ㆍ독립 영화를 배급ㆍ상영하는 ‘CGV 아트하우스’가 또 다른 문화권력이 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외부 목소리를 경청하겠다”고 답했다. 서 대표는 “아트하우스가 불과 21개 스크린을 가지고 있지만 아트하우스에서 상영하기를 원하는 영화는 어마어마하게 많아 수급의 밸런스가 잘 맞지 않는다”며 “이런 문제에 대해선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김표향 기자 suza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