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중국 민주화의 희망 류샤오보 잠들다" 류샤오보가 남긴 어록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중국 민주화의 희망 류샤오보 잠들다" 류샤오보가 남긴 어록

입력
2017.07.14 17:41
0 0
간암 말기 판정을 받고 가석방돼 교도소 밖 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중국의 인권운동가이자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류샤오보(劉曉波·61)가 13일 오후 9쯤(현지시간) 사망했다. 이날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의 노벨평화센터 앞에는 시민들이 류의 대형 사진 앞에 추모의 꽃다발을 바쳤다. AP연합뉴스
간암 말기 판정을 받고 가석방돼 교도소 밖 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중국의 인권운동가이자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류샤오보(劉曉波·61)가 13일 오후 9쯤(현지시간) 사망했다. 이날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의 노벨평화센터 앞에는 시민들이 류의 대형 사진 앞에 추모의 꽃다발을 바쳤다. AP연합뉴스

중국 민주화 및 인권운동의 상징이었던 류샤오보(劉曉波·61)가 13일(현지시간) 세상을 떠났다. 지난 5월 간암 말기 판정을 받고 가석방돼 교도소 밖 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류샤오보는 병세가 악화돼 위독 상태에 빠졌고, 끝내 일어나지 못했다. 그는 해외에서 치료받기를 원했지만, 류샤오보의 반체제 활동이 두려웠던 중국 정부가 끝까지 요청을 거부해 향후 국제 사회의 비난을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하와이대학에서 중국 철학과 현대 정치 강사로 활동했던 류샤오보는 1989년 중국에서 톈안먼(天安門) 사태를 계기로 시위대 대표로 정부와 협상을 벌였다. 이후 그는 일당체제 종식 등 중국의 민주개혁을 요구한 `08헌장` 선언을 주도해 2009년 ‘국가전복선동죄’ 혐의로 11년 형을 선고받았다. 중국 민주화를 향한 그의 노력은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아 2010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중국 인민들을 위해 비폭력 투쟁을 멈추지 않았던 그가 남겼던 말들을 회상한다.

중국인들에게 인터넷은 신이 주신 선물입니다.

지난 13일 홍콩의 중국 연락사무소 앞에서 한 시위자가 류샤오보의 자택 감금을 비판하는 모형을 들고 시위를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지난 13일 홍콩의 중국 연락사무소 앞에서 한 시위자가 류샤오보의 자택 감금을 비판하는 모형을 들고 시위를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홍콩, 중국 노벨평화상 수상자 류샤오보가 간암 말기 판정을 받아 위독 상태에 빠지자 지난 13일 홍콩의 중국 연락사무소 앞에서 한 시위자가 류샤오보와 류사의 사진을 놓고 시위를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홍콩, 중국 노벨평화상 수상자 류샤오보가 간암 말기 판정을 받아 위독 상태에 빠지자 지난 13일 홍콩의 중국 연락사무소 앞에서 한 시위자가 류샤오보와 류사의 사진을 놓고 시위를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중국인들에게 인터넷은 신이 주신 선물입니다.”

류샤오보는 인터넷에 글을 기고하는 방식으로 대중에게 자신의 활동을 알렸다. 류샤오보는 “중국 정부가 사이버상에서 ‘만리장성’을 쌓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중국 정부의 심한 검열 속에서도 자신의 목소리를 냈던 류샤오보는 “국가 정권과 사회주의 제도의 전복을 목적으로 정보를 다양한 지역에 빠르게 전송하고 사회적 파장이 크며 대중의 주목을 받을 수 있다는 인터넷의 특징을 이용해서 자신이 저술한 글을 인터넷 사이트에 실었다”는 2009년 ‘국가전복선동죄’ 판결문 중 일부 내용을 통해 그의 집필 활동이 중국 인민에게 막대한 영향을 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나에겐 적이 없다” ‘빈 의자’ 수상식에 최종 변론 낭독

2010년 1월 10일 노르웨이 오슬로 시청에서 열린 노벨상 시상식에서 토브뵤르 야글란 노벨위원회 위원장이 빈 의자에 높여진 류샤오보의 빈 의자에 놓여있는 류샤오보의 노벨평화상 증서를 바라보고 있다. AP 연합뉴스
2010년 1월 10일 노르웨이 오슬로 시청에서 열린 노벨상 시상식에서 토브뵤르 야글란 노벨위원회 위원장이 빈 의자에 높여진 류샤오보의 빈 의자에 놓여있는 류샤오보의 노벨평화상 증서를 바라보고 있다. AP 연합뉴스

“나는 적이 없으며 증오도 없다.”

류샤오보는 75년 만에 노벨평화상 시상식에 불참한 수상자다. 2010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했으나 중국 정부의 반대로 참가가 어려워져 노벨위원회는 ‘빈 의자 시상식’을 진행했다. 당시 수상식에는 수상 소감 대신 류샤오보의 최후 변론 “나에겐 적이 없다”가 낭독됐고, 수상 증서는 류샤오보가 앉았어야 할 빈 의자에 놓였다. 변론에 “나를 감시하고 체포한 경찰, 검찰, 나를 심판한 판사 중 누구도 나의 원수가 아니다.”고 강조한 류샤오보는 개인보다는 중국 체제 자체를 비난하는 데 초점을 뒀다.

당시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중국에서 기본적 인권을 위해 기나긴 비폭력적인 투쟁을 벌이며 중국 인권 개선을 위한 광범위한 투쟁을 대표하는 인물”이라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이후 중국 정부는 노벨상 시상식 현장을 담은 ‘빈 의자’ 사진을 모두 검열 삭제했다.

“자유로운 표현은 인권의 기본” 중국 인권운동의 상징

지난 13일(현지시간) 중국 노벨평화상 수상자 류샤오보가 간암말기로 투병 한달만에 향년 61세의 일기로 사망한 가운데 뉴욕에서 앞에서 시위자들이 고인을 추모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지난 13일(현지시간) 중국 노벨평화상 수상자 류샤오보가 간암말기로 투병 한달만에 향년 61세의 일기로 사망한 가운데 뉴욕에서 앞에서 시위자들이 고인을 추모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중국 정부는 류샤오보를 랴오닝성 선양 소재 중국의대 제1병원에 입원시키고 중국 최고의 간암 전문의들이 가장 앞선 의술과 요법으로 그를 치료한다고 선전했으나 서방으로 출국해 치료받기 바라던 류샤오보 본인의 마지막 희망을 외면했다. AP 연합뉴스
중국 정부는 류샤오보를 랴오닝성 선양 소재 중국의대 제1병원에 입원시키고 중국 최고의 간암 전문의들이 가장 앞선 의술과 요법으로 그를 치료한다고 선전했으나 서방으로 출국해 치료받기 바라던 류샤오보 본인의 마지막 희망을 외면했다. AP 연합뉴스

“자유로운 표현은 인권의 기본이며, 인간 본성의 뿌리와 진리의 어머니입니다.”

류샤오보는 개인의 자유를 존중하지 않는 중국 체제를 비판했다. 류샤오보는 ‘08헌장’에서 중국의 일당독재체제가 ‘문화대혁명’, ‘톈안먼 민주화 운동’에서 중국 국민의 권리를 탄압하고 대규모 참사를 초래한 사실을 비판했다. 체제의 변화를 주창한 류샤오보는 ‘자유’, ‘인권’, ‘민주’ 등의 원칙을 제시하며 “인간의 자유를 박살 내는 행위는 인권을 모욕하고 인간 본성을 억누르며 진리를 억압하는 것”이라 말했다. 표현의 자유가 있는 국가를 역설했던 류샤오보는 중국의 대표적인 ‘반체제 작가’였다.

우리 민족이 증오 대신 사랑으로 변화하길 바란다

지난 13일(현지시간) 호주에서 중국 노벨평화상 수상자 류샤오보가 간암말기로 투병 한달만에 향년 61세의 일기로 사망한 가운데 시위자들이 고인을 추모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 13일(현지시간) 호주에서 중국 노벨평화상 수상자 류샤오보가 간암말기로 투병 한달만에 향년 61세의 일기로 사망한 가운데 시위자들이 고인을 추모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우리 민족의 발전과 사회 변화를 지켜보면서 나의 개인적인 경험을 초월해 정권의 적개심을 극복하고, 증오 대신 사랑이 있길 바랍니다.”

비폭력 운동으로 인권 향상에 앞장섰던 그는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류샤오보는 중국 정부의 활동 제약 속에서도 증오나 적개심보다는 사랑으로 사회 변화로 이어지길 바랬다. 모든 중국 시민들이 두려움없이 자유롭게 정치 견해를 가지며 소수 의견이 존중 받길 소망했던 류샤오보는 중국 민주화 운동의 희망과도 같은 존재였다.

지난 13일(현지시간) 홍콩의 중국 연락사무소 앞에서 한 시위자가 류샤오보를 추모하며 하얀 꽃을 올려놓고 있다. AP 연합뉴스
지난 13일(현지시간) 홍콩의 중국 연락사무소 앞에서 한 시위자가 류샤오보를 추모하며 하얀 꽃을 올려놓고 있다. AP 연합뉴스

김빛나 인턴기자(숙명여대 경제학부 4)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