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14일 조합원 쟁의행위 찬반투표
달라진 노동환경 파업관행 변화 관심
경영환경 악화에도 노조 요구 여전
현대자동차 노조가 쟁의발생 결의에 이어 파업 찬반투표에 돌입하기로 해 2012년 이후 6년연속 파업으로 이어질지 우려되고 있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노동환경이 달라진데다 판매대수가 급락하는 등 회사 경영여건도 악화, 파업관행 등 현대차 노사문화가 달라져야 한다는 여론이 팽배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11일 울산공장 문화회관에서 임시대의원대회를 열고 만장일치로 쟁의발생을 결의하고 쟁의대책위원회를 구성, 13~14일 전체 조합원 4만9,000여명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하기로 했다.
노조는 올해 단체협상에서 기본급 15만4,883원 인상, 전년도 순이익 30% 성과급 지급, 상여금 800% 지급 등을 요구했으나 사측이 협상안을 제시하지 않자 지난 6일 20차 임단협 교섭에서 결렬을 선언하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했다.
노조는 냉각기 10일 후 중노위가 조정중지(합법적 파업요건)를 결정하면 17일부터 합법적으로 파업할 수 있다.
현대차 노조는 1987년 설립 이후 1994년과 2009~2011년 모두 4년을 제외하곤 매년 파업을 벌여 올해 찬반투표 역시 파업으로 이어질 공산이 높다.
그러나 노조 역시 최근 들어 위기상황이라 할 만큼 회사의 전반적인 경영여건이 크게 악화, 곧 바로 파업카드를 던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의 올해 상반기 판매대수는 219만대로, 2012년 217만대를 기록한 후 최저 수준이다. 이에 따라 비상경영을 선포하고 내수는 물론 수출, 해외 현지 법인 판매 등에 사활을 걸고 있으나 글로벌 자동차시장의 양대 축인 중국과 북미시장 등이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와 함께 현대차 임원들은 지난해 실적 부진 책임에다 위기극복을 위해 임금 10%를 자진 삭감한 가운데 과장급 이상 직원의 임금을 동결한 상황도 노조에게는 부담이다. 이런 여건에서 노조의 요구사항이 지나치다는 지적이 높아 노조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노조는 전년도 순이익의 30%(1조2,000억원)를 성과급으로 요구하고 있으나 이는 근로자 1인당 1,800만원에 해당, 상여금 800%와 기본급 인상을 더 할 경우 직원 1인당 3,000만원 정도의 인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다 현재 국내 청년실업률이 11.2%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파업 시 울산지역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해 비판 여론이 비등하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해 총 24차례에 걸친 파업으로 3조1,000억원에 달하는 생산차질을 빚었으며 지역상권과 하청업체 등에도 많은 피해를 끼쳤다.
‘노조파업→이미지 악화→현대차 구입기피’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실제 현대차 노조의 파업 움직임이 알려지자 여론은 급랭하고 있다. 아울러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달라진 노동환경에서 자칫 현대차 노조의 과도한 파업이 ‘귀족노조’라는 잠재된 비난여론에 기름을 부을 가능성도 없지 않아 노조의 대응이 주목된다.
현대차 노조는 이에 대해 “노조는 묵묵히 생산만 했는데 경영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무리가 아니냐”며 “협상안에 대해 사측이 제시안을 내야 밀고 당기고 할 것인데 아무런 입장도 내놓지 않고 있어 쟁의결의에 이르게 됐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 노조가 속한 금속노조 울산지부(지부장 강수열)는 이날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4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현대차 울산공장 정문 앞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가졌다. 노조 측은 이날 세종공업, 서연이화, 한국프랜지, 고강알미늄 지회 등 모두 10개 사업장에서 조합원 2,500여명이 오후 4시간 파업에 동참했다고 밝혔다.
금속노조는 앞서 지난달 27일부터 29일까지 전체 조합원 3만2,000여명을 대상으로 파업 찬반투표를 벌여 재적 대비 77.6%의 찬성으로 가결했다. 김창배 기자 kimcb@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