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순창 쌍치면 태생 김장민씨
인디애나 대학원 졸업식 총장상
텍사스주립대 교수 임용 겹경사
“전북 순창군 쌍치면 ‘깡촌’ 출신이라 ‘교육의 불평등’을 다룬 연구논문 주제가 제 성장경험이나 배경과 딱 맞습니다. 그래서 더욱 진정성을 가지고 연구에 매달린 것이 좋은 결과를 낳은 것 같아요.”
지난 5월 14일 미국 인디애나대-퍼듀대 인디애나폴리스 캠퍼스(IUPUI)에서 열린 인디애나대 대학원 졸업식에서 전주대 출신 김장민(36)씨는 총장상(Chancellor's Scholar Award)을 받았다. 김씨는 최근 텍사스주립대 사회복지학과 조교수로 임용돼 오는 9월부터 강단에 설 예정이어서 겹경사를 맞았다.
텍사스주 오스틴으로 이주한 그는 10일 “요즘 유행하는 말로 ‘웃픈’ 대한민국의 현실인 ‘흙수저ㆍ금수저 논쟁’을 해소하는데 제 연구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전주대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한 김 교수는 2010년 미국에 건너가 포틀랜드 주립대에서 석사, 인디애나대에서 박사 과정을 밟았다. 이 캠퍼스에는 석ㆍ박사 과정의 학생이 8,000여명이나 된다. 박사학위 논문 ‘학교-지역사회의 변혁적 협력 구축 방안(Building Transformative School- Community Collaboration: A Critical Paradigm)’에는 김 교수의 성장 경험이 가득 녹아 있다.
“‘토끼와 발 맞춘다’고 할 정도로 두메산골에서 태어나고 자랐어요. 읍내에서도 1시간이나 떨어진 오지였죠. 초등학교는 한 학년 전체 학생이 10~20명에 불과했어요. 6학년 졸업식날 딱 두 줄로 앉아 행사를 했어요. 중학교에 들어가 보니 한 학년 전체가 30~40명 밖에 안됐어요.”
이처럼 작은 농촌학교를 다니다 보니 학습이나 진로를 코치해 줄 멘토가 없었다. 집안 형편이 넉넉지 못해 학원이라곤 꿈도 꾸지 못했다. 진학 정보는 물론이고 적성 등에 대해서도 캄캄했다.
그래도 고등학교는 전주로 진학했다. 혼자 자취를 하며 상산고를 다녔다. 하지만 학원, 과외 등을 통해 예습을 하고 들어온 도시 학생들을 쫓아가기 벅찼다. 제대로 적응을 못하고 학교를 겉돌 수 밖에 없었다. 고3 시절에 학교를 가지 않은 날이 출석한 날보다 많았다.
그는 “이런 성장 배경 때문에 불우 청소년과 아동의 환경이나 교육 불평등에 대한 관심과 문제 의식이 늘 마음 속에 잠재해 있었다”고 말했다. 국내서 대학을 다닐 때도 미국에서 석ㆍ박사를 공부할 때도 “어떻게 하면 모든 아이들에게 동등한 기회, 더 좋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인가”에 초점을 맞췄다.
김 교수는 아동ㆍ청소년 문제를 지역사회의 복지행정과 연계하는 협력적 방안 구축을 제시한다. 특히 정책 입안 단계부터 행정기관뿐 아니라 수혜 대상인 청소년과 주민을 함께 참여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미국 인디애나 주정부와 손잡고 이 같은 프로그램의 실제 적용 실험에도 참여하고 있다.
김 교수는 “아직 한국에서는 복지정책을 전문가들이 위에서 결정해 밑으로 내리는 톱다운방식(하향식)이 많다”며 “모든 주체와 객체가 협력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해 정책을 만드는 바텀업(상향식)시스템으로 전환해야 제대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주=최수학 기자 shcho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