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Insur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정보기술(IT)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보험 상품과 서비스를 뜻하는 인슈테크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크게 뒤처져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박소정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는 28일 생명보험협회와 보험연구원이 주최한 ‘4차 산업혁명과 인슈테크 활용’ 국제세미나에서 “인슈테크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라며 이같이 경고했다. 그는 “현재 보험 고객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거나 접점을 보유한 곳은 보험사가 아닌 제3의 기업이나 신생혁신기업(스타트업)”이라고 꼬집었다.
박 교수는 인슈테크 관련 스타트업 초기 투자도 2011년 7,500만달러(약 860억원)에서 지난해 5억1,000만달러(5,700억)로 급격하게 증가했지만 이중 60%는 미국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독일 중국 일본 등에서도 투자가 활발하지만 우리나라에선 실적이 거의 없다.
박 교수는 “인슈테크는 단순히 효율성을 높이는 차원이 아니라 보험의 기본 개념을 바꾸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변화를 선도해나가지 못하면 완전히 다른 생태계 가치 사슬에서 결국 쇠퇴하고 말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 정책 측면에서 규제 완화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그간 IT와 금융 융합에 대한 제도 정비가 금융당국 중심으로 진행되며 한계가 있었고, 보험사들도 비용대비 수익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새로운 사업 모형을 확장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황인창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보험산업 내 유연성과 다양성을 강화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보험업 인가, 보험회사 업무범위, 데이터 활용과 요율 체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허경주 기자 fairyhkj@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