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미국 뉴욕 유엔본부 사무국에 외교관 파견을 추진하고 있지만, 미국과 일본 측이 정보유출 우려를 들어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5일 일본 교도(共同)통신에 따르면 북한은 국제기구에서 근무를 희망하는 사람들을 파견국이 경비를 부담해 일정기간 근무시키는 제도(JPO 파견)를 이용해 외교관 파견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올 3월 이 제도와 관련한 각서를 유엔과 체결한 뒤 자국 외교관을 정치 담당 부서에 파견하기 위한 절차를 밟는 것으로 전해졌다.
파견하려는 인물은 리수용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의 외무상 근무 당시 국제회의에 통역으로 동행했던 남성 외교관으로 알려졌다. 현재 유엔사무국에서 근무하는 북한 국적자는 없다. 북한의 이같은 움직임은 사무국이 핵ㆍ미사일 개발에 따른 대북 제재 이행을 강하게 추진하는 만큼 내부에서 사무국을 흔들려는 것으로 교도통신은 분석했다.
그러나 북한의 움직임을 파악한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가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제동을 걸었다. 헤일리 대사는 유엔 제재결의를 반복해서 위반하는 북한의 정부관계자가 안보리 지원 업무가 포함된 사무국 정치담당 부서에서 근무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고, 일본 정부도 같은 의견을 전달했다.
유엔 측은 각서를 체결한 상황에서 채용을 거부하는 것은 어려운 만큼 대북제재와 직접 관련 없는 부서에 배치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 관계자는 “어떤 직책이든 유엔사무국에 들어오면 쉽게 내부 정보를 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고 교도통신은 덧붙였다.
한편 북한 측이 지난해 미국 정부 전직 관리와 만나 중국이 관여하지 않는 상태에서 북미 간 직접 핵ㆍ미사일 협상을 하자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24일(현지시간) 일본 아사히(朝日)신문은 북한 고위급 관리가 지난해 10월 미국 정부와 접촉에서 “미국 새 정권과 직접 협상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보도했다. 당시 협의 담당이었던 로버트 갈루치 전 미 국무부 북핵 특사 등은 이 같은 내용이 국무부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 정권에도 전달됐을 것이라고 아사히신문에 밝혔다. 이 신문은 북한측의 이런 입장에 대해 “김정은 북한 정권이 북한의 혈맹으로 불리는 중국에 불신감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도쿄=박석원 특파원 spar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