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모, 귀가길 대리운전기사 등
실존인물 찍어 3차원 조각으로
“살아남으려 발버둥치는 우리 모습”
인체를 왜곡했지만 거북하지 않다. 찌부러트려 가로 혹은 세로로 납작하게 만든 인물 조각이 마술 같기도, 홀로그램 같기도 하다. “태연한 척 하지만 살아 남으려고 발버둥치는, 그래서 잔뜩 긴장했다 풀어지기를 반복하며 팍팍하게 살아가는 현대인을 표현했다”는 조각가 이환권(43). 그의 개인전 ‘예기치 않은 만남’이 서울 신사동 예화랑에서 열리고 있다.
왜 왜곡일까. “튀어 보려고, 자극적으로 만들려고 작정한 것은 아니에요. 예술의 목적을 ‘자극’으로 삼는 건 수준 낮은 겁니다. 그냥 마음이 시켜서 재미있게 만들었어요. 옛날 브라운관 TV에서는 인물들이 찌그러져 보였잖아요. 그런 공간에 들어가 보면 어떨까 하는 호기심에서 시작했어요. 그렇게 만들고 나니까 ‘내 작품에 형식적 긴장감이 있구나. 그게 불안한 현대인의 내면을 은유한 거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죠. 예술가는 마음이 시키는 걸 저지르고 보는 실천가여야 한다고 생각해요.”
이 작가의 작품은 이를테면 ‘생활밀착형’이다. 아들과 아들의 친구, 장모님부터 귀가 길에 만난 대리운전 기사까지 대부분 실존 인물이 주인공이다. 사회의 어두운 면을 건드리는 작품마저 친근해 보이는 이유다. 모델을 여러 방향에서 찍은 사진을 포토샵으로 변형한 뒤 3차원 조각품을 만들고 채색했다. 이번 전시에 나온 30여 점은 ‘작가가 의도를 설명한 뒤에야 알아들을 듯 말 듯 한 난해한 작품’과는 거리가 멀다.
권태로운 운전자를 담은 ‘교통 체증’은 욕망을 꾹꾹 눌러 담고 사는 밥벌이에 지친 수많은 이의 은유다. ‘대리 기사’에선 1만원이라도 더 벌려고 애쓰는 간절함이 느껴진다. 이 작가는 이주민의 얄궂은 운명에 관심이 많다. 새터민 남성과 한국 여성 부부를 모델로 삼은 ‘통일’, 한국인 아버지와 가나인 어머니를 여의고 혼란스러워하는 아이들을 담은 ‘삼남매’ 등은 최근작이다.
서울 정동 덕수궁 돌담길 정동교회 앞의 ‘장독대’가 이 작가의 작품이다. 그는 국내 공공미술의 현실에 할 말이 많은 듯 했다. 서울 상암동 사보이시티 앞에는 그의 작품 ‘태닝맨’이 설치돼 있다. 수영복을 입고 누워 있는 남성인데, 조각의 ‘살색’이 국민 정서에 맞지 않는다고 심의에서 거푸 떨어졌다고 한다. 조각을 전부 흰색으로 칠하고서야 지난해 심의를 통과할 수 있었다. “작품을 평가하는 기준은 결국 공감과 마음이어야 하는데 국내 미술과 공공미술 시장은 그렇지 못해요.” 이 작가는 최근 28회 김세중청년조각상을 받았다. 전시는 7월 15일까지.
최문선 기자 moonsu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