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무인기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부지까지 촬영하는 과정에서 중국이 개입했을 것이란 의혹이 일고 있다. 북중관계가 다소 소원해졌다지만 중국의 최대 관심사인 사드 문제에 북한이 협조했을 개연성은 충분하기 때문이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13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위원회 산하 전문가패널이 지난 3월 공개한 연례보고서에서 북한의 무인비행체 제작에 중국 기업 등이 관여한 정황을 구체적으로 지적했다”고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백령도에 추락한 북한 무인기 ‘UV-10’의 제조사는 중국 베이징(北京)에 본사를 둔 ‘마이크로플라이 엔지니어링 앤 테크놀러지’이며, ‘레드차이나 지오시스템’이 이를 넘겨받았고 중국계 이름을 쓰는 인사를 거친 후 북한에 판매된 것으로 추정됐다.
VOA 보도가 이번에 문제가 된 북한의 무인기에 대한 건 아니지만 정황상 중국이 어떤 식으로든 관여돼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우선 전문가패널의 지적을 감안하면 최근까지도 북한이 중국 중간업자를 통해 지속적으로 무인기를 들여갔을 공산이 크다. 실제 북한은 정찰ㆍ전투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무인비행체 300여대를 운용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드는 북한보다 중국이 훨씬 더 민감해하는 사안인 데다 북중 양국이 군사ㆍ안보분야에선 여전히 공통의 이해관계를 갖고 있다. 중국으로서는 외교적 마찰을 감수할 필요 없이 북한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면서 필요한 정보를 얻으려 했을 수 있다는 얘기다. 유엔 차원의 지속적인 대북 압박에도 불구하고 북중 양국은 여전히 공생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중국이 직접적으로 북한에 무인기를 수출했을 리는 없겠지만 일부 민간업자들이 생산ㆍ조달ㆍ운용에 관여했을 가능성은 비교적 높다고 봐야 한다”면서 “중국의 무인기ㆍ드론 기술이 북한으로 이전돼 북한이 자체 제작능력을 갖추기 시작했다는 얘기도 들린다”고 전했다.
베이징=양정대 특파원 torc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