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특사단 방중 이후 한중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와중에도 중국은 일관되게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배치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시진핑(習近平) 2기 체제가 출범할 11월까지는 이 같은 강경입장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아프리카를 방문중인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22일(현지시간) 코트디부아르의 아비장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방울을 단 사람이 방울을 떼어내야 한다”면서 “한국은 양국관계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사드 해결을 위한 실제적인 조치를 취해달라”고 촉구했다.
왕 부장은 “한국에서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중국에 중량급 특사를 파견함으로써 중국을 중시하고 양국관계를 빨리 개선하겠다는 희망을 피력했다”면서 “중국은 이전 정부와 다른 새 정부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특사 파견에 이은 실제적인 조치로 양국관계의 목구멍에 걸린 가시를 빨리 뽑기를 바라며 이를 위해 적극 소통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도 23일자 해외판 국제면에서 “문재인 정부가 한반도 문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회복할 수 있을지는 사드 문제 해결에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 정지융(鄭繼永) 푸단(復旦)대 한반도연구센터 주임은 인민일보 인터뷰에서 “사드 철회 가능성이 현재 크지는 않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냉철하고 슬기롭게 사드 문제를 해결한다면 미중 간 또는 동북아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고 북한과 4대 강국을 비롯한 다자관계에 물꼬를 틀 수 있다”고 말했다.
정 주임은 이어 “사드 장비 일부가 이미 한국에 반입된 상황이라 문재인 정부는 서면협의 등의 방식으로 사드가 중국을 겨냥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사드를 미국ㆍ일본의 미사일 시스템과 연계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힘으로써 중국의 우려를 해소하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러시아와의 사드 반대 공조도 강화하고 있다. 쿵쉬안유(孔鉉佑) 외교부장조리는 22일(현지시간) 모스크바에서 이고리 모르굴로프 러시아 외무부 아태지역 담당 차관과 만나 한반도에서 전쟁을 절대 허용할 수 없으며 사드 배치에도 결연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전했다.
베이징(北京)의 한 외교소식통은 “중국도 내부적으로는 사드 일부가 이미 한국에 들어온 상황에서 배치 철회가 쉽지 않다는 걸 알지만 시 주석이 공개적으로 수 차례 반대 입장을 천명한 사안이라 융통성을 갖기 어려울 것”이라며 “시 주석의 권력 공고화에 초점이 맞춰진 19차 공산당대회까지는 강경한 입장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우리 정부도 신중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베이징=양정대 특파원 torc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