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말 기준 가계 빚이 총 1,359조7,000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7조1,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회사들이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대출심사 등을 강화한 덕에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증가 폭이 둔화됐다. 그러나 가계 부채가 본격적으로 불어나기 시작한 지난 2013~14년과 비교하면 증가 규모가 여전히 높아 안심하긴 이르다는 지적이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1~3월) 가계신용(잠정) 자료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가계부채는 전년말보다 1.3% 증가한 1,359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 금융권(은행+비은행) 가계대출 실적과 신용카드 사용액과 같은 판매신용 실적을 합한 수치다. 올 1분기에 늘어난 가계부채 총액(17조1,000억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 증가액(20조6,000억원)보다는 3조5,000억원 줄어든 규모다.
1분기 은행권의 가계부채 증가액은 1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증가액(5조6,000억원)에 한참 못 미쳤다. 1~3월 늘어난 2금융권 가계부채 총액(7조4,000억원) 역시 지난해 1분기 증가액(7조6,000억원)보다는 작았다. 다만 같은 기간 판매신용 증가액(1,000억→3,000억원)은 더 커졌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한은 통계 발표에 맞춰 배포한 자료에서 1분기 이후 금융기관 가계대출 역시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4월1일부터 5월12일까지 늘어난 가계부채 총액이 10조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2조7,000억원)보다 2조7,000억원 감소했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가계부채 증가세가 꺾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가계부채 증가폭이 최근 줄어들긴 했지만 저금리와 부동산 시장 회복에 맞물려 가계부채 증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지난 2013~2014년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지난 2013년 1분기 땐 가계부채가 9,000억원 줄었고 이듬해 1분기 땐 3조4,000억원 증가에 그쳤다.
정부는 금융회사 가계대출 실적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며 면밀하게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또 대출자의 모든 원리금 상환부담을 소득과 비교해 소비자의 상환능력을 이전보다 훨씬 촘촘히 따지는 총체적상환능력심사(DSR) 제도의 전 금융권 도입도 서두르기로 했다. 김동욱 기자 kdw1280@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