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대미 특사인 홍석현 한반도포럼이사장(전 중앙일보ㆍJTBC회장)과 대일 특사인 문희상 의원이 17일 각각 사절단을 이끌고 워싱턴과 도쿄로 떠났다. 18일에는 이해찬 의원의 대중 특사단이 베이징을 찾고 이어 대러, 대유럽연합(EU) 특사단도 조만간 대통령 친서를 들고 현지로 향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이 취임 직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시작으로 주요국 정상들과 잇달아 전화 통화를 한 데 이어 본격적으로 정상외교에 시동을 걸었다고 볼 수 있다. 그간 긴박하게 돌아가는 한반도 위기상황 속에서 ‘코리아 패싱’에 대한 우려가 컸던 만큼 특사단에 거는 국민의 기대가 높다.
앞서 문 대통령은 16일 특사단과의 오찬에서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어느 때보다 엄중한 외교안보 상황을 물려받았고, 6개월 이상 정상외교의 공백이 있었다”며 “이 공백을 메우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 과제 수행의 첫걸음을 뗀 특사단의 임무가 막중하다. 무엇보다 홍 대미 특사의 어깨가 무겁다. 북핵 해법, 사드 배치, 한미 FTA 재협상 문제 등 시급한 현안을 놓고 트럼프 행정부와의 적지 않은 이견이 드러난 상황에서 상호 공감대와 이해를 넓히는 역할이 기대된다.
정의용 청와대 외교ㆍ안보 태스크포스 단장과 매슈 포틴저 미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이 16일 만나 한미 정상회담 6월 말 개최 합의와 함께 북핵 해결 원칙 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한 것은 의미가 작지 않다. 하지만 큰 틀의 의견 접근일 뿐 구체적 진전은 아직 요원하다. 홍 특사는 워싱턴 방문 중 양국 정상회담의 세부 일정과 의제 조율은 물론이고 주요 현안에 대해 새 정부 입장을 충분히 전달하고 미국 조야의 기류도 잘 파악하고 돌아와야 할 것이다.
대일, 대중 특사의 임무도 마찬가지로 무겁다. 일본과는 한일 위안부 합의를 둘러싼 논란이 발등의 불이고, 중국과는 사드 배치와 중국의 보복 조치에 따른 양국관계 악화를 어떻게 해소하느냐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라 있다. 우리 국민의 정서와 새 정부의 의지를 충분히 설명하고 이해를 끌어내야 한다. 하지만 상대국 국민과 정부의 입장도 있어 결코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최대한 공감대를 넓히고 의견 차가 좁혀지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구동존이(求同尊異)의 자세로 임해야 한다. 물론 특사 파견은 4강 외교의 시작일 뿐이다. 긴 호흡으로 정상회담 등을 통해 차근차근 문제를 풀어 가야 하지만, 우선은 그 첫 단추를 잘 꿰는 것이 중요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