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지역도 192만㎡ 늘려
서울시가 기존의 대규모 개발 위주에서 주민의 실제 생활권을 반영한 주민 눈높이의 도시계획을 마련한다. 일자리 중심지인 상업지역도 192만㎡ 더 늘린다. 상대적으로 개발이 덜 된 지역 위주로 해 서울 전역이 골고루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 같은 내용의 새 도시계획체계인 ‘서울시 생활권계획’을 15일 발표했다. 도시계획에서는 아직 생소한 생활권 개념이 처음으로 도입됐다. 서울 전역을 5개 대(大)생활권역과 116개 지역단위 소(小)생활권으로 나누는 것이다. 생활권은 주민들이 보통 ‘우리 동네’라고 말할 때 인식하는 범위라고 보면 된다. 행정구역상 3~5개 동으로, 지역 고유 특성과 주민들의 구체적인 요구를 섬세하게 담아내 지역 맞춤, 균형 발전 도시계획을 세우겠다는 게 시측 설명이다. 이를 위해 3년이 넘는 기간 동안 주민 6,000여명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쳤다.
또한 상업지역도 2030년까지 192만㎡를 추가로 지정한다. 박 시장은 “일자리 중심지인 상업지역이 지역별로 격차가 심각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상업지역 확대 지정은 강남ㆍ북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지역활성화 수단이 될 전망이다. 이중 134만㎡가 인구, 일자리, 기존 상업지역 면적 등을 고려해 상대적으로 소외된 동북ㆍ서남ㆍ서북권에 배분된다. 낙후된 기존 상업지역에도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30% 이상 확보해야했던 비주거 용도 비율을 20% 이상으로 완화하기로 했다.
이번 계획으로 2014년 서울 도시기본계획인 ‘2030 서울플랜’에서 제시한 3도심, 7광역중심, 12 지역중심에 일상생활 활동 거점인 53개 지구중심을 추가로 설정하면서 서울의 중심지 체계도 완성됐다. 신규 지구중심의 81%는 저성장 지역인 동북ㆍ서북ㆍ서남권에 집중시킨다.
시는 18일 전문가ㆍ시민 공청회를 시작으로 의견 청취 과정을 거쳐 10월 계획을 확정한다.
박 시장은 “전문가들에 의한 대규모 개발계획이라는 기존 도시계획에 대한 통념과 관성을 뒤엎고 도시계획의 새 역사를 쓰고 있다”며 “생활권 계획은 시민 일상생활을 종합적으로 담은 삶의 지도이자 미래 서울을 향해갈 수 있는 지도로 새로운 도시계획 모델로 자리잡을 것이다”고 말했다.
권영은 기자 you@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