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기조 가늠할 상징성 커
9일 대선의 승자는 선거 다음날인 10일 대통령 취임과 동시에 임기를 시작한다. 또 정권을 교대할 준비기간도 없이 박근혜 정부의 각료들과 함께 유례가 없는 동거정부로 출발해야 한다. 때문에 대통령의 첫 인선이자 정권 초반 중책을 맡아야 할 비서실장에 대한 고민이 클 수밖에 없다.
주요 대선 후보 측에 따르면 차기 정부 첫 비서실장은 청와대와 내각의 기본 골격을 만들면서 향후 내각 인선 과정에서도 각 정당들과 소통해야 하는 만큼 임무가 막중하다는 데에 이견이 없다. 첫 총리 인선이 마무리될 때까지 사실상 인수위원장과 총리 역할을 맡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차기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를 선별하고 이를 추진해야 하는 역할도 담당해야 한다.
차기 대통령의 첫 인사가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정권 기조를 가늠할 수 있는 ‘상징성’도 갖는다. 촛불정국으로 치러진 조기 대선인 만큼 차기 대통령이 개혁과 통합 중 무엇을 강조하느냐가 인선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다만 여소야대 국회를 감안하면 개혁이나 통합을 추진하기 위해선 야당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야당과의 관계를 감안한 인선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많다. 역대 정부 중 김대중정부와 노무현정부의 경우, 첫 비서실장으로 각각 영남 출신의 김중권 전 민주정의당 의원과 문희상 의원을 임명해 야당과의 관계를 초점을 맞췄다. 반면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에선 각각 4대강 공약을 만든 류우익 서울대 교수, 친박계 중진 허태열 전 의원을 임명했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소통 능력과 대야 관계를 강조했다. 이정희 한국외대 교수는 “박근혜정부의 김기춘 비서실장을 보면서 국민들의 실망이 컸다”면서 “이번 정부는 대통령의 말만 일방적으로 전달하기 보다 밑에서의 의견을 제대로 대통령에게 전달할 수 있는 비서실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준한 인천대 교수도 “대통령에게 쓴 소리를 할 수 있어야 하고, 여소야대의 국회를 감안할 때 여당뿐 아니라 야당과의 원만한 관계를 만들 수 있는 인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차기 대통령은 비서실장과 국가안보실장 외에 총리 등 내각 인선을 담당할 수석비서관 임명도 조기 단행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청와대와 정부 인사를 담당하는 인사수석과 국회와의 소통을 담당할 정무수석, 경제와 안보 위기를 감안할 때 경제, 외교안보수석 등은 우선적으로 임명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김회경 기자 herme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