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장현 광주시장이 취임한 지 1년이 조금 지났을 때다. 2015년 9월, 광주시 안팎에선 산하 기관장 등의 인선 과정을 둘러싸고 ‘윤장현식 인사법칙’이란 얘기가 회자됐다. 사전내정설이 나돌고 여론이 나빠지면 내정포기설이 흘러나오면서 결국 내정설의 당사자가 낙마한다는 내용이었다. 취임 이후 줄곧 정실ㆍ보은ㆍ측근 인사로 비난을 샀던 윤 시장의 퇴행적 인사 행태를 꼬집은 것이다. 당시 광주시서울본부장과 광주복지재단 대표이사 공모도 그랬다. 그래도 이때까지만 해도 “윤 시장이 여론 눈치를 살피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그러나 그것도 그때뿐이었다. 이후에도 “윤 시장이 인사를 사유화하고 있다”는 비난은 끊이지 않았다. 윤 시장의 ‘적폐 인사’는 결국 사달을 냈다. 지난해 9월과 12월 윤 시장의 인척이자 비선 실세로 알려진 전 광주시 정책자문관 김모(63)씨와 김씨의 친동생인 윤 시장의 전 비서관이 각종 비리 등에 휘말려 검찰에 구속된 것이다. 이는 윤 시장의 책임론으로 번졌고, 윤 시장은 수 차례 대시민 사과 끝에 공공기관장 인적 쇄신이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다. 당시는 한 시민단체가 윤 시장 퇴진운동을 벼르던 때였다. 이 때문에 윤 시장이 시민단체의 반발을 잠재우기 위해 공공기관장 물갈이 카드를 들고 나온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됐지만 일단 윤 시장의 진정성을 믿어보자는 분위기도 있었다.
하지만 ‘역시나’였다. 윤 시장이 올해 1월부터 시작된 8개 공공기관장에 대한 인선 작업을 놓고 되레 “윤 시장의 인사가 퇴행적 진화를 거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윤 시장이 1차 공모 때 면접에서 탈락했던 지원자를 재공모를 통해 내정자로 낙점하는 인사 패턴을 반복하고 있다는 것이다. 광주시도시공사와 광주시도시철도공사가 그 대표적인 예다. 당장 시청 주변에선 “윤 시장이 새로운 인사법칙을 들고 나왔다”는 비아냥이 들린다. 윤 시장이 인사 패턴만 달리 했을 뿐 자기 입맛에 맞는 사람을 쓰겠다는 퇴행적 인사를 되풀이 하고 있다는 얘기다. 애초 윤 시장이 밝힌 인적 쇄신 사유인 “시정의 새로운 동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라는 설명은 이제 무색해졌다. 그런데도 여기에 대해 해명하는 사람은 없다. 광주시의회가 인적 쇄신을 위한 명확한 원칙과 기준이 뭐냐고 물어도 윤 시장은 묵묵부답이다.
이쯤 되면 배짱인지, 오만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불통(不通) 인사’에 대한 비판이 그치지 않고 있는데도 오불관언이다. 시쳇말로 '너희는 짖어라, 나는 상관 안 한다'는 식이다. 이런 비판에 대해 광주시는 “광주의 미래를 위한 열정과 비전을 갖춘 참신한 전문가로 보기 어려운 점 때문에 후보 재추천을 요구했다”고 해명했다. 형식상 공모 절차엔 문제가 없다는 것인데, 인사의 투명성은 고사하고 과연 공공기관장 인사가 이렇게 널뛰기를 해도 되는 것인지 혀를 차는 소리가 곳곳에서 요란하다.
나와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주변의 쓴소리에 귀를 닫는다면, 결국 사람도 조직도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상처를 입을 수 있다. 오죽하면 한때 윤 시장의 측근이었던 한 지인이 “윤 시장이 혹시 ‘너희는 짖어라’ 하고 있지는 않은지 자신을 돌아봐야 그나마 치유 가능성이라도 있다”고 뼈 있는 발언을 했을까. 윤 시장은 이제라도 인사 오만을 경계해야 할 때다.
안경호 기자 kha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