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연구원 정책세미나
“보험산업에도 새 비즈니스 모델
진입장벽 해소 위해 규제 완화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헬스케어 산업을 국가 정책적으로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고령화 속도가 빠른 우리나라의 경우, 효율적인 의료비 관리와 국민건강 증진을 위해서라도 헬스케어 산업을 국가의 신성장 동력으로 키울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17일 보험연구원이 주최하고 기획재정부가 후원한 ‘제4차 산업혁명과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 정책세미나에서 홍석철 서울대 교수(경제학부)는 “양질의 헬스케어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인구감소 및 저성장 추세와 맞물려 개인의료 및 국가재정 부담은 심화되고 있다”며 “근본적인 해결방안은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 건강관리 부문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4차 산업의 핵심인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통신ㆍ의료ㆍ보험 서비스를 융합하면 ‘맞춤형 건강관리→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의료비 절감 효과’의 선순환구조로 생애주기에 걸친 건강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특히 헬스케어 분야는 보험산업에도 새 비즈니스 모델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정유신 서강대 교수(경영학부)는 “건강정보ㆍ기록 솔루션 등을 활용해 개인별 건강상태를 측정ㆍ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보험상품과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입자의 건강상태에 따른 보험료 할인 및 질병별 맞춤형 상품이 지금보다 더 정교해지는 한편, 걸음 수나 식단 관리 등 개인의 건강관리에 따른 보험 인센티브 제공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이미 해외 보험사들은 헬스케어 사업 확대에 주력하고 있지만 한국은 진입 규제로 뒤쳐지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실제 일본 주우생명은 건강관리서비스사(디스커버리), 통신업체(소프트뱅크) 등과 제휴해 건강상태를 보험료에 반영하는 상품을 개발 중이며, 중국 중안보험은 중국 최대 인터넷 기업 텐센트와 협업해 당뇨병 환자의 건강상태를 보험료에 반영하고 있다.
정성희 보험연구원 사회안전망연구실장은 “헬스케어 서비스의 확대와 사회적 기여를 위해서는 개인정보 유출ㆍ악용을 막을 방안 마련과 함께 비의료기관 공급자의 진입장벽 해소를 위한 규제 완화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대혁 기자 selected@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