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페루 파스토루리…백설기 닮은 5250m 고산빙하

입력
2017.03.13 10:00
0 0

페루의 속살 우아라즈3에서 이어집니다.

오늘의 투어 갈무리

투어명 : 파스토루리(Pastoruri)/푸야 데 라이몬디(Puya de Raymondi)

대표 코스 : ①아구아스 가시피카다스 데 푸마팜파(Aguas Gasificadas de Pumapampa) >②푸야 데 라이몬디(Puya de Raimondi) >③네바도 파스토루리(Nevado Pastoruri)

바로 앞인 것 같은데, 걸을수록 점점 멀어진다. 이곳은 늘 이미 늦어버린 시간 같다.
바로 앞인 것 같은데, 걸을수록 점점 멀어진다. 이곳은 늘 이미 늦어버린 시간 같다.
네바도 파스토루리에서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은 통각이다. 눈은 매워지고, 얼굴과 발은 고통스럽게 차가워진다.
네바도 파스토루리에서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은 통각이다. 눈은 매워지고, 얼굴과 발은 고통스럽게 차가워진다.

만일 페루 여행의 장점을 묻는다면 몇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이국적이다. 한국과의 접점이 현격히 적다. 먼 나라 미국이나 유럽은 가보지 않아도 가본 것 같다. 여행하지 않아도 한국에 잠식한 프랜차이즈 카페, 레스토랑을 통해서 먼저 맛볼 수 있다. 페루는 여느 남미와 마찬가지로 전혀 다른 얼굴, 다른 언어, 다른 풍속, 다른 음식이다.

둘째 밀당의 고수다. 사람을 들었다 놨다 한다. 한없이 경이로운 자연에 기쁘다가도, 다각도로 치고 들어오는 도둑과 사기 행각에 기겁한다. 끝도 없는 증오심에 불타오르다가도 전혀 예상하지 못한 환희를 안겨준다. 환희의 상대는 사람이기도, 풍경이기도 하다.

오늘의 우아라즈 투어는 애초에 기대감이 제로였다. ‘많이 그리고 싸게’, 첫날 만난 ‘삐끼’의 박리다매 영업전략에 달랑 사진 한 장 보고 엉겁결에 승낙했다. 사진 속엔 갓 쪄낸 백설기 같은 빙하 앞으로 기능성 점퍼를 입은 외국인 커플이 하얀 이를 드러냈다. 좁은 테라스에서 말을 섞은 캐나다 커플 여행자는 갓 이곳을 다녀왔다고 했다. 우아라즈의 하이라이트라고도 했고, 숨조차 쉬기 힘들 거란 말도 흘렸다. 어쩌다가 얻어걸린 그곳, 눈 덮인 파스토루리(Nevado Pastoruri). 5,250m란 숫자는 그저 ‘참 높군’이란 느낌뿐이었다.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어떤 영화의 클리셰가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었다.

7~15m의 키, 3개월간의 만개, 40~100년에 걸친 생애. 그들의 삶이 우아스카란 국립공원 굽이굽이에 스타카토를!
7~15m의 키, 3개월간의 만개, 40~100년에 걸친 생애. 그들의 삶이 우아스카란 국립공원 굽이굽이에 스타카토를!
안으로 들어가면 나갈 때 반드시 상처를 입히는 날카로운 가시를 방어기제로 지녔다. 만져보면 단단하다.
안으로 들어가면 나갈 때 반드시 상처를 입히는 날카로운 가시를 방어기제로 지녔다. 만져보면 단단하다.
안데스의 성게랄까. 산비탈에 붙은 성게 모양은 꽃필 자격을 갖출 무렵 하늘로 쭉 줄기를 뻗으면서 변신한다.
안데스의 성게랄까. 산비탈에 붙은 성게 모양은 꽃필 자격을 갖출 무렵 하늘로 쭉 줄기를 뻗으면서 변신한다.

습관처럼 날씨예보를 봤다. 늦은 오후부터 흐림, 가끔 비다. 가는 내내 햇살이 세상을 비추었다. ‘듣보잡’ 스타일의 가이드는 어떤 이유에서인지 코카(coca, 고산병 방지 코카나무 잎)를 권하는 카페에 들려 시간을 끌었다. 투어버스는 이제 익숙해진 우아스카란 국립공원으로 진입했다. 다만 오늘은 초여름 같다. 대초원과 산비탈엔 소와 양이 고개를 파묻어 풀을 뜯고, 온천인 아구아스 가시피카다스 데 푸마팜파에선 부글부글 기포를 내며 끓어오르고 있었다. 이어 안데스 고산지대에만 허락된 거대식물 푸야 데 라이몬디가 도로 양 옆으로 숲을 이뤘다. 얼마나 기구한 운명인가. 100년 가까운 세월 속에서 딱 한번 꽃을 피우고 장렬히 생을 마감한다. 투어버스는 구름을 몰고 인상을 잔뜩 찌푸린 곳으로 툴툴 올라갔다. 1시간 후 모진 안데스 날씨도 견뎌온 고령 식물이 사라질 때쯤 잿빛 암벽과 설산 풍경이다. 창문은 뿌옇다. 초여름은 겨울로 성급히 치환되고 있었다.

인간의 발이 되는 이곳 말들은 평생 고산병이 뭔지 모르고 살다 가겠지. 적응이란 무서운 놈이다.
인간의 발이 되는 이곳 말들은 평생 고산병이 뭔지 모르고 살다 가겠지. 적응이란 무서운 놈이다.
깊은 산속에서 세월을 낚는 강태공들. 이미 그들은 천하를 거머쥔 듯 보였다. 존경합니다.
깊은 산속에서 세월을 낚는 강태공들. 이미 그들은 천하를 거머쥔 듯 보였다. 존경합니다.

"자 올라가 보시죠."

투어버스에서 내리자마자 몸이 육중해졌다. 해발 4,800m, 차가 닿을 수 있는 최고 지점이다. 내딛는 다리 사이로 휘이잉 들어온 바람이 앞머리를 치고 올라왔다. 땅은 발의 힘을 모조리 빨아들이더니, 몸까지 흡수해버릴 기세다. 한 걸음, 어라? 두 걸음, 엥? 몸이 말을 듣지 않는다. 이 길의 정상, 눈 덮인 파스토루리로 가기 위한 방법은 두 가지다. 말을 타거나 친히 걷거나. 당연히 후자였다. 여기선 후자가 오히려 스펙터클하다. 말은 재미로 타기보다 실려가는 것에 가깝다. 파스토루리의 인기를 예고하듯 엉덩이를 반쪽 붙이고 온 투어버스에서 해방된 기쁨도 금세 사라졌다.

이미 천천히 걷고 있는데, 스스로 "천천히"란 주문을 거듭 했다. 서두르면 호흡 곤란과 두통이란 직격탄이 왔다. 맑아질 줄 알았던 정신은 멍하다. 한 가지만 또렷했다. 언젠가 네팔 안나푸르나 트레킹을 할 때 한 노장 가이드가 트레커에게 물었다는 그 순간.

"올라올 때 무엇을 보았소?"

"어… 앞사람 뒤꿈치만 보았는데요..."

산을 갈 때마다 그 우스개 소리가 떠올라 습관적으로 앞과 뒤, 옆을 보려고 했다. 목적만 있는 이동일 때 여행자는 괴롭다. 이동 역시 여행이다. 앞으로는 길쭉하고 두꺼운 스테이크처럼 눈이 보이고, 뒤로는 설산 형제들이 구름 떼 아래 병풍을 쳤다. 좌로는 명도 낮은 붉고 평탄한 암벽이, 우로는 잿빛 암벽이 몸을 세우고 있었다. 누군가를 추월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리고 모두 땅만 보고 걷고 있다. 탕탕은 거의 감옥에 끌려가는 죄수 자세다. 상기시키자면 해발 5,250m까지 약 2km 오르막이다. 대체로 완만한 경사다. 바람도 우릴 밀어내니 총체적 난국이었다. 50여 분 걸릴 수도 있다는 가이드의 말은 허투루 한 게 아니었다.

정상에 가까워질 때쯤 보이는 파노라마. 잿빛 호수와 파란 하늘의 대비에 연속 감탄사가 터진다.
정상에 가까워질 때쯤 보이는 파노라마. 잿빛 호수와 파란 하늘의 대비에 연속 감탄사가 터진다.
정상에서 뒤를 돌아 찍은 파노라마. 경험했기에, 이 사진을 보면 숨부터 가빠진다.
정상에서 뒤를 돌아 찍은 파노라마. 경험했기에, 이 사진을 보면 숨부터 가빠진다.
이탈리아의 글쟁이와 사진작가는 이 광경을 어찌 글로, 사진으로 담아야 할지 정신을 놓고 있다고 했다.
이탈리아의 글쟁이와 사진작가는 이 광경을 어찌 글로, 사진으로 담아야 할지 정신을 놓고 있다고 했다.
파스토루리는 권곡빙하(圏谷氷河)다. 암벽 같은 결이 살아 있으면서 폭신한 눈의 따뜻함이 있다.
파스토루리는 권곡빙하(圏谷氷河)다. 암벽 같은 결이 살아 있으면서 폭신한 눈의 따뜻함이 있다.

정상은 천천히 왔다. 탈환의 기쁨은 한 자리에서 360도 파노라마로 돌아 보는 것으로 대체했다. 눈 이불을 덮은 암벽과 빙하가 호수에 반사되는 일각의 순간, 세상의 조각 작품을 울게 하는 자연 발생 빙하 조각물, 잿빛 호수 위로 나이테를 그리는 빙하의 유랑. 인간은 아무것도 아니다. 세상사 아무것도 아니다. 한없이 낮아지고, 겸손해졌다. 그 풍경을 오래, 모두 담아내려고 빙하 동굴 속에서 호수를 따라 한참을 서성거렸다. 내려갈 생각이 추호도 없는 우리 일행을 끌어내리러 올라온 가이드의 인솔로 겨우 걸음을 뗐다. 매정하게도 바람은 서둘러 하산하도록 밀어냈다. 세상에서 가장 높은 공중화장실 중 하나일 이곳에서는 용무조차 성스러웠다.

2009년 중순, 여러 빙하 전문가들은 지구온난화로 9년 내로 이곳 빙하가 실종될 것으로 전망했다. 옷깃을 여미는 날씨였음에도, 일부 빙하는 뚝뚝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 영원히 그리워질 얼굴이 될까. 벌써 2017년 초다. 잠시 멈췄던 비는 우아라즈로 향하는 투어버스의 창문을 더 세차게 두들기고 있었다.

강미승 칼럼니스트 frideameetssomeone@gmail.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