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안전연구소, 대피 시뮬레이션
인구 170만명 반경 20㎞ 밖으로 가는 데 22시간
“피폭 막기 위해 집단ㆍ소규모 대피소 마련 중요”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발전소에서 중대 사고가 발생할 경우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인 반경 20㎞ 밖으로 대피하는 데만 22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 개통, 대피 훈련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부산환경운동연합과 민간연구기관인 원자력안전연구소는 8일 부산환경운동연합 4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리원전 사고를 가정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다.
원자력안전연구소는 고리원전 반경 20㎞ 내에 있는 부산, 울산, 경남 양산 등 3개 지역의 인구 170만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해당 지역의 건물과 산 등 실제 지형을 고려한 대기확산모델과 실제 행정구역의 인구 분포, 도로 현황 등을 적용한 ‘동적 대피 시뮬레이션’을 활용했다.
연구소는 방사선 누출과 같은 중대사고를 발생 30분 후 통보하는 것을 가정, 대피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170만명 대부분이 고리원전 반경 20㎞ 밖으로 대피하는 데 22시간이 걸렸다. 반경 10km를 벗어나는 데에도 12시간이 걸렸다. 대피가 늦은 이유는 해운대와 만덕 터널 등에 차량이 몰리면서 심각한 정체가 빚어지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서면 중심가의 경우 사고 24시간이 지나도 10% 정도의 시민들은 대피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 시간 상당수 시민이 방사능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 측은 지역별 대피경로와 최적 대피경로의 선정, 주기적인 대피 훈련, 최적의 구난 시스템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국내의 방사선 비상계획 구역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에서야 기존 8~10㎞에서 20~30㎞로 확대됐다.
이 범위에 속하는 지역에서는 사고에 대비한 방호방재대책이 수립되고 비상대피훈련 등이 실시되고 있지만 미흡하거나 형식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원자력안전연구소 관계자는 “국내 원전 방재대책은 인명 대피에 대한 부분이 전혀 반영돼 있지 않아 대피 시나리오가 전무하다”며 “도로망 확충도 중요하지만, 피폭을 막기 위해 집단 또는 소규모 대피소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혜원 기자 iamjhw@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