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가계 신용대출 급증… 금리 1%p만 올라도 한계가구 7만 늘어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가계 신용대출 급증… 금리 1%p만 올라도 한계가구 7만 늘어

입력
2017.02.28 18:00
0 0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은행권 가계대출이 지난해 무려 13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위기 이후 최대치다. 본격적인 금리 인상기에 가계부채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로 금리가 1%포인트만 올라도 소득보다 빚이 많은 한계가구는 7만 가구나 늘어나는 것으로 파악됐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은행권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기타대출액(신용대출 등)은 174조9,000억원으로 전년 말(162조원) 대비 13조원(7.9%)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전년도 증가폭(8조원) 보다 63%나 커진 것이다. 증가액만 보면 2008년 이후 최대치다. 이에 따라 은행권 가계대출 전체 증가 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5년 18%에서 지난해 24%로 상승했다. 기타대출액엔 마이너스대출을 중심으로 한 신용대출과 예ㆍ적금 담보대출, 비(非)주택 담보 대출 등이 포함된다.

이 같은 은행권 기타대출 증가세는 정부가 지난해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신용대출로 발길을 돌린 사람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은행권도 수익성 강화를 위해 무이자 신용대출 상품을 내놓는 등 적극적인 영업에 나서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존에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가계생활자금으로 쓰던 사람들이 대출을 받기 어려워지면서 비교적 손쉽게 받을 수 있는 고금리 신용대출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시중금리가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 폭증이 가계부채 부실을 부추길 수 있다는 데에 있다. 2월 기준 시중은행(16곳)의 신용대출 평균금리는 4.47%로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3.40%)보다 1%포인트이상 높다. 임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긴급생활자금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단기로 빌리는 게 아니라 전세자금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신용대출을 받으면 가계 운용에 부담이 될 수 있다”며 “향후 금리가 오르면 변동금리를 적용 받는 신용대출자들의 부도확률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금리 인상으로 빚 갚기가 버거운 한계가구가 속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날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에 의뢰해 받은 자료에 따르면 시중은행의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른다고 가정했을 때 한계가구(금융부채가 자산보다 많고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이 40%를 넘는 가구)의 금융부채 규모는 289조7,000억원(작년 3월 말 기준)에서 314조4,000억원으로 24조7,000억원이나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됐다. 또 한계가구 수도 150만4,000가구에서 157만3,000가구로 증가하고, 이들 가구의 연간 이자부담액도 755만4,000원에서 891만3,000원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작년 3월 말 연 3.24%였던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최근 연 3.39%까지 상승했다. 특히 저신용, 저소득층이 많이 이용하는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금리는 연 11.75%로, 한달 새 1.09%포인트나 급등했다. 김 의원은 “금리 인상기에 저신용자나 저소득층 등 한계가구가 취약할 수 있는 만큼 이들을 위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지원기자 stylo@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