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화학무기 5,000톤 보유, 세계 3위 수준
포탄ㆍ미사일 등에 실어 남한 어디든 공격
금지협약 가입 안 해 규제 없어, 위험성 고조
북한 김정남 살해에 이용된 신경작용제 VX는 단순 독극물 수준을 넘어 유엔이 대량살상무기로 분류하는 화학무기다. 북한이 김정남 암살에 VX를 사용한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유엔의 추가 제재를 포함한 국제 사회의 규탄 목소리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VX는 1995년 일본 옴 진리교가 도쿄 지하철 테러 당시 사용한 사린 가스보다 100배 이상의 독성을 띤다. VX는 액체와 기체 상태로 존재하고, 주로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입힌다. 호흡기나 피부, 눈 등을 통해 체내에 흡수되면 눈물, 콧물, 구토, 설사 등으로 체액이 몸 밖으로 나와 사망에 이른다. 다만 소량인 경우에는 응급처치로 물이나 식염수에 씻어내면 치명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동남아 여성 2명이 손바닥에 VX를 묻혀 김정남을 공격한 뒤 바로 손을 씻었던 것도 그 때문이다.
VX는 1988년 이라크 사담 후세인 정권이 북부 쿠르드족 거주지역에 살포해 수천 명의 목숨을 앗아가기도 했다. 1991년 채택된 유엔결의 687호는 VX를 대량살상무기로 분류했고 1997년 발효된 화학무기금지협약도 VX의 생산ㆍ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VX를 비롯해 25종의 화학작용제를 확보한 것으로 추정된다. 16개소의 화학무기 관련 시설을 운용하면서 2,500~5,000톤의 화학무기를 보유했다는 것이 군 당국의 분석이다. 미국, 러시아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이다. 무엇보다 북한은 각종 화학무기를 휴전선 일대 전방부대에 집중 배치한데다 야포와 방사포, 미사일, 항공기 등 다양한 투발수단에 실어 공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한반도 전역이 화학무기의 위협에 노출돼 있다.
미국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 38노스는 2013년, 북한이 정치범수용소에서 독가스를 주입하는 생체실험을 하고 있다고 주장해 파문이 일었다. 또 북한이 2012년 김정은 집권 이후 시리아 정부군을 상대로 화학무기를 수출했을 가능성도 제기된 바 있다.
북한은 화학무기를 규제하는 국제협약을 무시하고 있어 위험성이 더 크다. 화학무기금지협약에 전세계 190여 개국이 가입했는데 현재 미가입국은 북한, 이집트, 남수단 정도에 불과하다. 이에 지난해 9월 방한한 아흐메트 위쥠쥐 화학무기금지기구 사무총장은 “북한이 협약에 가입하도록 국제사회가 강제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당시 위짐쥐 총장과 만난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북한이 엄청난 화학무기를 보유한 것만으로도 테러국가로 지목할 근거가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김광수 기자 rolling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