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연료 스커드ㆍ노동과 달리
사전 징후 포착 어려워 허점 우려
북한이 12일 발사한 중거리 탄도미사일에 고체연료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우리 군의 대응전략에도 전면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북한이 이전보다 신속하고 은밀하게 미사일을 쏠 능력을 갖춘 만큼, 발사 징후를 사전에 포착해 초토화하는 ‘킬 체인’에 허점이 뚫릴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킬 체인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징후를 사전에 포착한다는 전제하에 2023년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선제타격 전략이다. 30분 이내에 미사일 탐지와 좌표식별, 결심, 발사까지 완료하기 위해 국방부는 17조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킬 체인이 가능한 건 북한의 주력 탄도미사일인 800여기의 스커드ㆍ노동ㆍ무수단이 모두 액체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연료를 주입하는데 최대 3시간가량 걸리고, 주입한 이후 산화제 부식 등으로 오래 보관하기 어렵다. 따라서 한미 정찰자산으로 미사일 발사 징후를 포착할 가능성이 그만큼 높다.
하지만 고체연료를 사용한 ‘북극성 2형’ 미사일이 500여㎞를 날아가 사실상 발사 성공으로 판명되면서 킬 체인의 전제가 송두리째 무너질 지경이다. 고체연료는 주입한 뒤에 장기간 놔둬도 되기 때문에 북한이 언제 쏠지 파악하기 어렵다. 특히 북한은 최소 100대 이상, 최대 200대의 이동식발사차량(TEL)을 보유하고 있다. 이동하면서 발사할 경우 미사일의 발사지점을 예측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북한이 지상 발사 고체 로켓을 개발했다면 우리로서는 도발 징후를 포착할 수 없다는 의미”라며 “우리 군의 킬 체인은 무력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군 당국은 “감시자산을 보강하는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우리 군은 사거리 500㎞의 타우러스 공대지미사일을 비롯해 타격무기는 어느 정도 갖추고 있지만, ‘눈’에 해당하는 정찰위성은 2023년이 돼야 확보할 예정이다. 이번 북한의 미사일 발사 당시 해군의 이지스함과 육군의 그린파인레이더는 지구 곡면 때문에 미사일이 일정 고도 이상 올라온 2분 정도가 지나서야 미사일의 궤적을 추적한 반면, 미군은 정찰위성으로 발사 순간부터 추적할 수 있었다.
김정현 기자 virtu@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