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주의보 발령 6일 분석 결과
황산암모늄 등 평소의 1.1~7.5배
국외 영향이 80% 육박하는데
정부는 국내 대책에만 초점 맞춰
1군 발암물질로 알려진 초미세먼지(PM 2.5)가 새해 들어 두 차례나 전국의 하늘을 뒤덮은 가운데 이 먼지의 화학성분이 평상 시보다 최대 7배 이상 검출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최근 정부 당국이 내놓은 주요 대책은 연일 나타나고 있는 이 ‘보이지 않는 적’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4일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발표한 ‘전국 미세먼지 성분 측정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2~5일(1차), 18~19일(2차) 총 6일에 걸쳐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됐다. 이날까지 24일 중 나흘에 하루 꼴이다. 초미세먼지는 머리카락 굵기 30분의 1 정도로 미세하기 때문에 호흡기에서 걸러지지 않아 폐 속까지 직접 침투할 수 있다.
지난 3일 서울 지역 초미세먼지 평균농도(오후 4시 기준)는 공기 1㎥ 당 107㎍(마이크로그램ㆍ100만분의 1g), 19일에는 충북이 113㎍까지 오르는 등 뿌연 하늘이 절정에 달했다. 초미세먼지 주의보는 권역 별 평균 농도가 2시간 이상 90㎍/㎥ 이상일 때 발령된다.
국립환경과학원이 백령도ㆍ수도권ㆍ중부권ㆍ호남권 등의 집중측정소에서 분석한 1~2차 주의보 당시 성분 측정 결과를 보면, 황산암모늄, 질산암모늄, 유기탄소 등 초미세먼지를 구성하는 성분 농도가 평상시(2014~2015년 평균) 대비 적게는 1.1배에서 많게는 7.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2월이 연중 미세먼지가 가장 많은 시기로 꼽힌다고는 하지만, 나흘에 하루 꼴로 평상시보다 최대 7배 이상 더 독한 성분에 노출되고 있다는 얘기다.
미세먼지의 원인 분석 결과, 두 차례 모두 중국 등 국외 영향이 80%에 육박했다. 1차 때는 국외 영향이 65~74%, 2차 때는 75~80%로 분석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1차 주의보는 중국에서 발생한 스모그 등이 북서풍을 타고 수도권으로 유입된 뒤 남부지방으로 이동하면서, 2차의 경우 중국발 미세먼지가 서해상으로 유입된 뒤 국내 배출오염 물질과 합쳐져 생겼다고 밝혔다. 자동차 배기가스, 난방연료 등 국내 요인은 20~30% 수준에 불과했다.
하지만 정부는 경유차 줄이기 등 국내 대책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마저도 예산 부족에 시달리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 9일부터 시작된 노후 경유차 폐차 보조금 지원사업이 대표적이다. 2005년 이전 노후 경유차를 대상으로 대당 약 160만원을 지원하는 이 사업은 수원과 포천 등에서 신청이 몰려 조기 마감된 상태다. 이달부터 시작하기로 한 공공차량 2부제도 참여기관 목록화, 담당자 교육 및 모의훈련 준비 등을 이유로 내달 15일로 미뤄진 상태다. 임영욱 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 부소장은 “정부가 효과 검증 등 충분한 검토없이 대책을 내놓은 측면이 강하다“고 지적했다.
올해부터 한ㆍ중 공동연구단을 통한 대기질 공동관측 프로젝트 등 국외 대책도 내놓고 있지만 큰 결실을 기대하긴 힘들다. 송창근 울산과기대 교수는 “정부 차원을 넘어 민간영역에서도 미세먼지 절감 기술 개발 등이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조아름 기자 archo1206@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