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노트7 20만대, 배터리 3만대 이상 조사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 개월 동안 700여 명의 전문 인력을 투입해 20만대 이상의 완제품과 3만대 이상의 배터리를 조사했다고 23일 밝혔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사장)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배터리 자체 결함을 갤럭시노트7의 발화원인으로 지목했다. 삼성SDI 배터리의 경우 우측 상단 모서리의 눌림 현상, 얇은 분리막 때문에 발화한 것으로 분석했고, ATL 배터리는 배터리 융착 부위(이음새)의 비정상적 돌기, 절연 테이프 미부착, 얇은 분리막 등의 조합이 내부에서 단락 현상을 일으킨 것으로 봤다.
고 사장은 “지난 수개월 간 철저한 원인 규명을 위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제품뿐만 아니라 각각의 검증 단계와 제조, 물류, 보관 등 전 공정에서 원점부터 총체적이고 깊이 있는 조사를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시장에서 발생한 소손 현상을 실험실에서 재현하고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대규모 충ㆍ방전 시설까지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우선 하드웨어 자체 결함이 있는지 전면 조사했다. 고속충전 기능이 발화를 유발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고속충전 기능을 사용할 때와 사용하지 않을 때, 고속충전의 전류와 전압에 변화를 주면서 테스트를 진행했다. 또 방수ㆍ방진 기능으로 인한 영향은 없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폰 뒷판(백커버)을 장착한 상태와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 충ㆍ방전을 반복 시행해 봤다. 새로 탑재된 홍채 기능이 영향을 끼쳤는지 보기 위해선 홍채인식 때 사용되는 전류량에 따른 변화를 살펴봤고, USB 타입C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USB 단자에 4,000볼트 이상의 전류를 흘리는 방식 등으로 테스트를 진행했다.
소프트웨어가 소손에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기 위해 기본 탑재된 소프트웨어(앱)나 내려받은 앱들이 과다한 소모전류를 발생시키는 경우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오작동 상태로 인한 과전류 소모 실험을 진행했다.
고 사장은 “이런 모든 (하드웨어ㆍ소프트웨어) 테스트에서 특이점이나 소손과의 연관성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제조, 물류, 배송 등 모든 과정도 점검했다. 고 사장은 “포장, 이송, 보관 등 다양한 요인을 모두 살펴봤다”며 “조사 결과 특이점이나 소손과의 연관성은 없었으나 추가적으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안전성 검사를 대폭 강화할 계획이다.
고 사장은 “전 세계 소비자에게 판매돼 개통된 306만대 중 현재까지 96%의 제품이 회수됐다”며 “빠른 시일 내 이렇게 높은 회수율을 달성할 수 있도록 협조해 주신 소비자, 유통 거래사, 모든 협력사 여러분에게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이서희 기자 shlee@hankookibloc.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