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화, 재원조달, 시민 편리, 시민 의견수렴 등 의문 제기
대구공항ㆍK2 통합공항 예비 이전후보 대상지인 5개 지자체 주민들의 이전 찬반 주장이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대구에서도 공항이전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이들 반대론자들은 통합공항 활성화, 7조원대의 공항개발 가능 여부, 대구시민의 편리성, 시민의견 수렴 여부 등에 의문을 제기, 논란이 일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최근 수 차례 기자간담회를 통해 “통합공항을 영남권 관문공항으로 만들겠다”며 3,500m 이상 활주로 건설로 미주와 유럽 정기노선을 유치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하지만 대구경북하늘길살리기운동본부와 지방분권운동 대구경북본부, 새로운 대구를 열자는 사람들은 12일 오후2시 대구 범어도서관에서 ‘대구국제공항과 대구의 미래는’이라는 주제로 이전에 반대하는 시민대토론회를 열기로 해 논쟁이 예상된다.
이들 대구공항 이전 반대론자들은 먼저 통합공항 이용객 확보에 따른 활성화에 의문을 제기했다. 대구공항이 지난해 저비용항공사의 약진에 힘입어 사상 처음으로 이용객 250만명을 초과달성, 흑자를 기록했으나 이전 후에는 김해공항과 경쟁구도를 형성, 통합공항 하늘길이 좁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는 것이다.
김형기 지방분권개헌국민행동 상임의장은 “통합공항 이전 후에는 대구시민 상당수가 김해공항으로 몰릴 가능성이 높다”며 “대구시가 활주로 확장, 신규노선 취항 등 장밋빛 공약을 남발하기 전에 수요조사부터 정확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7조원이 넘는 공항이전 재원조달도 숙제다. 대구시는 7.6㎢인 기존 K2 공군기지 부지를 개발한 이익금으로 15.3㎢의 통합공항을 건설하는 ‘기부 대 양여’ 방식에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지방정부 사업규모로는 감당하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강주열 대구경북하늘길살리기운동본부 집행위원장은 “서울 용산기지 이전의 경우 5조원을 투자하고도 실패했는데 대구시가 7조원이 넘는 재원을 어떻게 마련, 진행하겠다는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며 “개발이 실패한다면 대구시민이 고스란히 빚을 지게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구시민 편의성 문제도 제기됐다. 대구공항 이용객 대부분이 제주와 일본, 중국, 동남아 노선을 이용하는 현실을 감안하면 대구시민들이 상대적으로 이용빈도가 떨어지는 미주, 유럽노선을 위해 현 공항을 포기해야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이진훈 수성구청장은 “통합공항을 가까운 지역에 이전한다해도 대구시민 입장에서는 현 대구공항보다 멀고 불편한 것이 사실”이라며 “항공수요가 가장 많은 제주도를 가기 위해 현재 대구공항보다 더 먼 통합공항을 가려는 시민이 어디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반대론자들은 하나같이 대구시의 통합공항 이전 정책에서 시민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절차상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도시의 핵심 경쟁력인 공항이전을 추진하면서 대구시민 250만명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강주열 집행위원장은 “공항 유무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하늘과 땅 차이인데 시민 공청회도 열지 않고 졸속 진행하는 것은 문제”라며 “그동안 묵살됐던 대구시민의 다양한 생각을 들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희정기자 yoon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