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과 고도제한 피해는 최소화
대구공항ㆍK2 통합이전은 대구ㆍ경북지역에 12조9,000억원의 생산유발, 5조5,000억원의 부가가치유발, 12만명의 취업유발 효과를 볼 것으로 분석됐다.
국방부가 9∼11월 한국교통연구원에 의뢰한 ‘군공항 이전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용역’ 결과 건설단계에는 경북지역에서 통합신공항 건설공사와 주변지역 토목건설 공사 시행으로 7조5,000억원의 생산, 2조7,000억원의 부가가치, 5만3,000여 명의 취업유발효과가 날 것으로 28일 전망되고 있다.
대구지역에는 종전부지 개발사업 시행으로 8,000억원의 생산, 3,000억원의 부가가치, 6,000여 명의 취업유발효과가 예상됐다.
운영단계를 보면 통합공항 운영기간을 30년으로 가정할 때 군부대 주둔으로 연간 328억원의 예산지출, 1,515억원의 부대원 소비지출 등이 발생, 경북지역에 30년간 3조6,151억원의 생산, 1조9,852억원의 부가가치, 4만9,228명의 취업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민간공항 운영에 따라 연간 175억원의 항공운송보조사업 매출, 40억원의 임대사업 수익, 176억원의 근무자 및 공항이용객 소비지출 발생으로 경북지역에 30년동안 1조836억원의 생산, 5,736억원의 부가가치, 1만3,034명의 취업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통합공항 이전에 따른 사회적 파급효과를 보면 주둔 부대 물자와 서비스 조달, 장병 외출 외박 면회시 식당과 숙박업소 이용, 학교와 병원, 도로, 상업시설 등 지역기반시설 확충이 뒤따를 전망이다. 또 많은 유동인구 발생으로 의료와 관광 등 분야에서도 2, 3차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소음과 고도제한 문제를 보면 현 기지보다 2배 규모의 부지를 매입, 소음완충지역을 조성하고 방음시설도 설치해 소음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또 통합신공항이 주택밀집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고도제한에 따른 재산권침해는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기지와 거리에 따라 15층 규모의 높이 45m 건물 신축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의관 대구시 공항추진본부장은 “이번 용역은 국방부가 전문기관에 의뢰한 객관적 자료로 향후 이전지역 주민들의 유치찬반 결정의 객관적 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대구공항 통합이전이 대구경북 상생발전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준호기자 jhju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