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62명 찬성… 가결선 34명 초과
PKㆍTK서 탈친박 다수 나온 듯
계파 중심 잃은 친박 세력 약화
탈박 흡수한 비박의 압박 커질 듯
9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234표)은 새누리당 의원 128명 중 62명의 찬성으로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야 3당과 야당 성향의 무소속 의원, 새누리당을 탈당한 김용태 의원까지 172명이 모두 탄핵 찬성에 나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특히 표 분석 결과 비주류 비박계와 계파색이 옅은 중립 성향 의원이 모두 탄핵에 찬성했고, 주류인 친박계의 일부 이탈 세력까지 더해져 62명이 채워진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주도권이 친박계에서 비주류 비박계로 이동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한국일보가 7, 8일 이틀간 진행한 탄핵 찬반에 대한 새누리당 의원 전수조사에서 당내 계파는 친박계 74명, 중립 성향 16명, 비박계 38명으로 분류됐다. 본보 조사 당시에는 비박계와 중립 성향 의원 중에서도 ‘찬반을 결정하지 못했다’거나 ‘의견 표명을 유보하겠다’고 밝힌 사람이 전체 54명 가운데 24명이었다. 하지만 이번 표결 결과를 보면 ‘부동층’ 24명 모두 찬성표를 던졌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이처럼 비박계와 중립 성향 54명이 모두 찬성 쪽으로 섰다고 할 경우, 나머지 8명은 친박계에서 이탈한 표로 봐야 한다. 특히 이날 본회의에서 ‘무효표’를 행사한 7명과 기권을 선택한 2명을 포함하면 친박계 이탈 의원은 최대 17명으로 추산할 수 있다. 이를 역추산해보면, 한국일보가 추정한 친박계 74명에서 실제 본회의 이탈 추정 17명을 빼면 57명이 되고, 실제 본회의에서 불참한 1명(최경환 의원)을 빼면 반대표를 행사한 56명과 딱 맞아떨어지게 된다.
이 같은 추세는 이미 며칠 전부터 감지됐다. 비례대표 초선인 친박계 신보라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 “소신과 양심에 따라 탄핵 표결에 찬성하겠다”고 밝혔다. 친박계 홍철호ㆍ이현재ㆍ경대수 의원과 비상시국위에 참여하지 않았던 비박계 이철규 의원도 최근 탄핵 찬성 입장을 시사했다.
친박계 좌장 격인 서청원 전 최고위원을 중심으로 유기준 윤상현 정갑윤 정우택 최경환 홍문종 의원 등 7명은 박 대통령의 탄핵 반대를 사수한 친박계 핵심이다. 또 이정현 대표와 조원진 이장우 최연혜 등 친박계 지도부 4명과 고위 당직자, 김진태 김태흠 박대출 이우현 함진규 등 친박계 강성파, 친박계 공천 몫으로 분류되는 비례대표 12명도 반대표를 던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다 합치면 30여표다.
본보 조사에서 탄핵 찬반 입장을 밝히지 않았던 친박계 의원 26명은 대부분 부산ㆍ경남(PK)과 대구ㆍ경북(TK) 의원이었다. 결국 본회의 표결에서 탈친박 의원은 이중에서 다수 나왔을 것으로 분석된다. 경북의 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지역 민심을 수렴한 결과대로 투표했다”며 침통한 표정을 숨기지 않았다. 부산의 한 다선 의원은 막판 지인들에게 “여의도로 촛불이 옮겨 붙으면 안 된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탄핵 가결을 분기점으로 당장 새누리당은 비박계 중심의 탄핵 찬성파 62명과 친박계 탄핵 반대파 66명으로 쪼개진 형국이다. 친박계가 절반을 조금 넘는 수적 우위에 있지만 당장 박 대통령이 직무정지 상태로 식물 대통령이 돼 계파의 중심을 잃게 됐다. 반면 “210명 수준”에서 탄핵 가결선을 확보했다고 밝혀 왔던 비박계로선 중립지대 의원과 일부 탈박 의원까지 가세해 힘이 배가 된 모습이다.
소수파에서 친박계와 비등한 숫자를 확보한 비박계는 11일 비상시국위원회 총회를 기점으로 친박계를 상대로 압박의 강도를 높여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당 안팎의 관측이다. 가장 먼저 탄핵 불가피성을 주장한 김무성 전 대표나, 지난 주말 당론을 뒤집으면서 '탄핵 표결'의 단일대오를 형성했던 유승민 의원을 중심으로 친박계 퇴진 운동이 펼쳐질 수도 있어 보인다.
이렇게 친박계 지도부와 비박계 비상시국위가 대치해 ‘한 지붕 두 지도부’ 체제를 지속한다면 사실상 확정된 조기 대선을 앞두고 탈당이나 분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각에서는 탄핵 가결로 힘을 얻은 비박계로 탈박 행렬이 이어질 경우 친박계가 인적 청산을 당하기 전 먼저 탈당할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서상현 기자 lss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