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대학가 동맹휴업
노동계는 30년 만에 정치총파업
최대변수는 2일 탄핵표결
부결 땐 성난 민심 폭발
가결 땐 헌재 압박할 가능성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촛불’ 향배가 결정될 중요한 한 주가 시작됐다. 박 대통령이 190만 촛불에 미동조차 하지 않으면서 노동계와 대학가가 본격적인 저항운동에 나섰고 정치권의 탄핵안 발의도 예고된 상태다. 시민사회는 여러 정국 변수를 감안해 장기화하고 있는 촛불집회의 미래 동력을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당장 노동계가 정권 불복종 운동의 일환으로 30년 만에 정치총파업에 들어간다. 1,500여개 시민사회단체로 이뤄진 ‘박근혜정권퇴진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은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30일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정권퇴진을 목표로 진행하는 정치파업은 1987년 이후 처음이다. 총파업 주도 세력은 민주노총이다. 금속노조 15만명 등 산별조직 조합원 총 30만명이 연가투쟁 방식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수업을 보이콧하는 대학가의 동맹휴업도 본격화한다. 30일 서울대, 내달 1일 가톨릭대, 인천대, 부산대, 경인교대 등이 휴업에 들어가고 고려대 홍익대 국민대 인하대 등 주요 대학들도 동참 여부를 논의 중이다.
노동계와 대학생들의 총파업 및 불복종 시위는 내달 3일 6차 촛불집회는 물론, 향후 촛불 정국의 성격을 가늠할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다. 민주노총은 총파업이 여론의 지지를 얻어 불복종 운동의 구심점이 될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30일을 총파업뿐 아니라 시민불복종의 날로 선언하고 평일 대규모 촛불대회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당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파업 결의대회 후 도심 행진과 국민촛불집회를 열 계획이다.
의견은 엇갈린다. 5차 촛불집회에 참가한 한승진(43ㆍ사업)씨는 “박 대통령이 버티기에 들어간 이상 국민들도 각계에서 투쟁에 나서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일종의 ‘촛불 버티기’전략을 짜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정부와 재계가 총파업을 불법으로 규정한데다 촛불집회도 전국민의 축제로 자리잡은 만큼 특정 단체의 저항운동이 공감대를 얻을 수 있을지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김귀옥 한성대 사회학과 교수는 “총파업 등 불복종운동을 노조와 대학 학생회 같은 기존 운동권 조직이 주도하면 오히려 촛불집회의 순수성을 위축시킬 수도 있다”며 “참여층의 다양성이 보장될 때 촛불의 동력은 커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대 변수는 박 대통령 탄핵절차 개시 여부다. 여야는 이르면 다음달 2일 탄핵안을 국회 본회의에서 표결한다. 김세균 서울대 정치학과 명예교수는 “가능성은 낮지만 국회가 탄핵안 통과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일 경우 시민들의 분노는 청와대에서 여의도로 향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회가 탄핵을 결의하면 “박 대통령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촛불의 1차적 요구가 받아들여졌다는 점에서 축제 분위기가 강화되고 헌법재판소의 빠른 결정을 압박하는 형태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주최 측인 퇴진행동도 다양한 고려사항 때문인지 촛불집회의 방향성을 쉽게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퇴진행동 측은 “날씨가 점점 추워져 이전처럼 100만명 참여 등 특정 인원을 제안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일단 6차 촛불집회는 4차 집회처럼 전국 동시로 진행하고 박 대통령의 태도 변화가 나올 때까지 주말 도심 집회 역시 꾸준히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퇴진행동은 29일 내부회의를 거쳐 6차 집회의 성격과 행동 요령을 정할 방침이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탄핵발의나 다음주 예정된 국회의 재벌기업 국정조사 등 정국에 영향을 미칠 주요 사안의 결과가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시민사회의 투쟁 목표와 대안도 새롭게 설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현빈 기자 hbkim@hankookilbo.com
정반석 기자 banseo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