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비 부담에 소비 침체 우려도
가정을 막 꾸리고 내 집 마련을 꿈꾸는 20~30대 가구주는 가처분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2년 이상 모아야 서울에 평균 수준의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3분기 39세 이하 가구주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71만원이었다. 반면 한국감정원이 파악한 9월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5억5,480만원이었다. 단순히 계산하면 20∼30대 가구주는 약 12년 6개월을 모아야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를 마련할 수 있는 셈이다.
20∼30대 가구주가 서울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점점 길어지는 추세다. 연간 기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과 매년 12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을 비교해보면 2013년 약 11년 6개월 걸리던 기간이 2014년에는 약 11년 7개월, 지난해에는 약 12년 11개월까지 연장됐다.
그러나 이 역시 불가능한 시나리오다. 현실적으로 소비해야 할 곳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처분가능소득은 가구가 벌어들인 소득 중 세금, 공적연금, 사회보험 등을 제외한 것으로, 소비지출분은 배제돼 있다. 소비지출을 하고 가구가 자산 매입과 저축에 활용할 수 있는 흑자액은 올해 3분기 기준 월평균 120만원 정도다. 이렇게 되면 20~30대 가구주가 은행에 의존하지 않고 집을 마련할 때 걸리는 기간은 약 38년 6개월로 늘어난다.
현실이 이렇다 보니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선 젊은 가구주들은 빚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현황을 보면 올해 3월 말 30대의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01조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0조4,000억원(11.5%) 늘었다. 20대가 받은 주택담보대출 잔액도 작년 말 6조5,000억원에서 3개월 만에 9조4,000억원으로 2조9,000억원(44.6%) 늘었다. 반면 40대가 받은 주택담보대출은 2조2,000억원(1.3%) 늘어나는 데 그쳤고 50대와 60대 이상에선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각각 4조4,000억원, 8조1,000억원 줄었다. 대출받아 집을 사고 있는 가구가 젊은 층을 위주로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백웅기 상명대 교수는 "2014년 정부가 부동산 규제를 완화하며 서울 아파트를 포함해 부동산 가격이 빨리 뛰었다"며 "결혼 연령대인 20∼30대에게 내 집 마련이 지상과제처럼 돼 있다 보니 젊은 층이 소비를 절대적으로 줄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젊은 세대의 주거비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진주 기자 pearlkim72@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