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소비가 줄어들면서 강원도내 최대 곡창지역인 철원군이 생산면적을 줄이기로 했다.
철원군은 올해 9,519㏊인 벼 재배 면적 가운데 10% 가량인 950㏊ 가량을 감축 키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풍년에도 쌀 소비 부진으로 군내 종합미곡처리장(RPC)의 재고량이 1만 톤에 달하자 고육지책으로 내놓은 조치다. 철원군은 “벼 재배면적 100㏊당 572톤의 쌀 생산량을 감축하면 가격 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쌀 소비 부진은 비단 철원군 만의 문제가 아니다.
30년 전인 1980년대 후반 130㎏이던 국내 1인당 쌀 소비량이 최근 들어 70㎏이하까지 줄었다. 여기에 시장개방에 따른 의무 수입량이 40만여 톤에 달해 전국 미곡창고마다 재고가 심각한 수준이다. 매년 쌓여가는 재고 탓에 농민들 입장에선 풍년이 결코 달갑지 만은 않은 상황이 돼 버렸다. 강원지역의 한 지역농협 관계자는 “재고 소진을 위해 마진을 크게 줄여 할인행사에 나설 수 밖에 없고, 이 손실이 결국 농민들에게 돌아가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고 털어놨다. 결국 철원군의 경우처럼 생산량을 인위적으로 줄여 가격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형편이 돼 버린 셈이다.
강원도와 자치단체는 쌀 소비 확대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직거래 행사와 TV홈쇼핑 판로 개척, 학교ㆍ단체급식 참여 확대를 통해 햅쌀 재고를 소진한다는 계획이다. 강원도는 특히 자유무역협정(FTA)을 계기로 중국을 제2의 내수시장으로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그러나 농업현장의 반응은 여전히 싸늘하다. 자치단체가 수년째 비슷한 벌이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으나 효과가 크지 않고, 중국 수출 물량도 재고에 영향을 줄 정도로 많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강원발전연구원은 최근 연구보고서를 통해 “쌀 과잉문제 해결을 위해 가공 산업 활성화와 행정ㆍ재정적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박은성 기자 esp7@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