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에선 외부 인사도 언급
‘최순실 게이트’ 파문으로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 사퇴 여론이 확산되는 가운데 차기 비대위원장 후보로 유승민 의원과 김무성 전 대표 등 여당 대권 주자들이 부상하고 있다. 관리형 비대위원장으로 박관용 전 국회의장이나 정운찬ㆍ김황식 전 국무총리 등도 거론된다.
지난해 7월 박근혜 대통령으로부터‘배신의 정치’로 낙인 찍혀 원내대표직을 내려놓아야 했던 유승민 의원은 ‘최순실 게이트’의 몸통 격인 청와대와 거리두기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박계 의원 일부가 차기 비대위원장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대위 체제 전환’을 가장 먼저 주장한 남경필 경기지사도 지난달 31일 라디오방송 인터뷰에서 “(비대위원장을) 대선 후보 중에서도 맡을 수 있다”고 포문을 열었다.
당 대표는 대선에 출마할 수 없지만, 비대위원장은 대선 출마가 가능하다. 2011년 12월 홍준표 당시 한나라당 대표가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대표직을 사퇴하고 박근혜 대통령이 비대위원장으로 추대될 당시, 당은 ‘대선에 출마하고자 하는 선출직 당직자는 선거일 1년 6개월 전에 사퇴해야 한다’는 규정을 비대위원장에겐 적용하지 않도록 당헌을 개정했다. 당시 대선 출마를 앞둔 박 대통령이 위기에 빠진 당의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이런 점에 비춰 김무성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아 혼란스러운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하지만 김 전 대표는 1일 기자들과 만나 “그럴 생각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대선 잠룡인 오세훈 전 서울시장도 같은 맥락에서 후보로 이름이 오르내린다.
일각에선 정진석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겸직하는 방안도 나오지만, 황영철 의원은 이날 3선 이상 중진 의원 회동 직후 브리핑에서 “정 원내대표는 당 지도부가 물러날 경우 비대위가 구성될 때까지 중간 단계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 박관용 전 국회의장이나 김황식ㆍ정운찬 전 국무총리 등 외부 인사도 거론된다. 하지만 지난 4ㆍ13 총선 참패 후 비대위원장을 맡았던 김희옥 전 동국대 총장이 친박과 비박계 사이에서 치여 무기력하게 당을 운영했다는 지적을 받았던 것을 감안하면 현재로선 가능성이 높지 않다. 정승임 기자 chon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