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英 왕립학회장 방한
“노벨상은 연구의 부산물일 뿐, 목표가 돼서는 안 됩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초청으로 28일 서울대를 찾은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64) 영국 왕립학회(The Royal Society) 회장은 과학 분야 노벨상에 목말라하는 한국 과학계에 이렇게 충고했다. 라마크리슈난 회장도 세포 안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리보솜’의 3차원 구조를 풀어낸 공로로 2009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그가 이끄는 영국 왕립학회는 1660년 설립돼, 아이작 뉴턴, 찰스 다윈,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등 유명 과학자들이 회원으로 활동했던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학술단체로, 노벨상 수상자만도 80여 명에 달한다.
그는 “젊은 과학자라면 노벨상보다는 오히려 본인이 어떤 질문을 가졌는지, 또 그 질문이 얼마나 재미있는 것인지를 생각해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구는 오래 걸리고 힘들며, 지루할 때도 있는데 재미가 있어야 끝까지 포기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역시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지만, 재미가 없어 생물학을 선택했다는 경험담을 전했다. 그는 “다시 대학 수업을 들으며 ‘퇴보한 게 아닌가’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내겐 무엇보다 재미가 중요했다”고 밝혔다.
라마크리슈난 회장은 과학자들이 연구소에만 머물지 말고 대중을 자주 만나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국민의 세금으로 연구하는데, 이를 어떻게 쓰는지를 알려야 한다는 것이다. 왕립학회의 경우 대중강연을 잘하는 과학자에게 해마다 상을 주고, 우수한 과학서적을 선정해 상금을 준다고 했다. 그는 “대중강연을 하거나 대중적 책을 쓰는 과학자들에 대해 연구 열심히 안 하는 사람이라는 편견이 있는데, 이는 반드시 사라져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연구자가 원하는 연구를 할 수 있는 환경이 돼야만 좋은 성과가 나온다며, 영국의 ‘홀데인 원칙’을 소개했다. 이는 정책 결정자가 연구에 대한 큰 주제를 정해줄 수는 있지만, 연구비와 연구에 대한 세부 사항은 모두 과학자가 정한다는 것이다. 그는 “만일 정부가 제시한 주제가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하면 연구자는 자유롭게 정부에 의견을 말할 수 있다”며 “영국의 경우 정부와 학계의 협력이 잘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임소형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