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연구원 연구결과
‘고령화ㆍ저출산’원인
고령화와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로 2040년께 광주·전남지역 전체 읍·면·동 10곳 중3곳이 소멸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5일 전남도의회 우승희 의원이 공개한 ‘지방소멸 가능성에 따른 지역 공공서비스 개선방안’연구결과에 따르면 광주 95개 동 중 34곳(35.8%), 전남 297개 읍·면·동 중 98곳(33.0%)이 2040년 소멸 가능지역으로 분류됐다.
범위를 2040년 이후로까지 넓히면 광주 18곳, 전남 144곳이 추가로 대상에 포함돼 광주·전남 392개 읍·면·동 중 294곳(75.0%)이 소멸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광주전남연구원 김대성·신동훈 책임연구위원이 수행했다.
광주와 전남, 각 읍·면·동의 인구 감소, 가임여성 변화율, 고령화율을 토대로 기준을 설정해 인구 감소를 유발하는 3개 기준을 모두 충족하면 2040년 소멸가능 지역, 2개 조건을 충족하면 2040년 이후 소멸가능 지역으로 분류했다.
연구진은 도시공간 구조를 집약화해 공공시설을 재배치하는 도시기본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주대도시권은 공간구조 압축성 측정을 의무화하고 생활거점은 고령화에 대비해 의료·복지 기능을 한데 모으면서 생활거점 간 대중교통을 연결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목포·여수·순천 등 지방중심도시와 그 밖의 농·산·어촌 지역도 특성별로 공간구조를 재편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우 의원은 “전남도는 도정 목표를 ‘청년이 돌아오는 전남’으로 정하고 인구감소를 막는 데 총력을 쏟고 있지만 청년 인구는 오히려 감소 추세에 있다”며 “청년인구 순 유출 규모나 비율을 지속해서 관리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고령화가 가장 빨리 진행되는 지역인 만큼 정부가 손 쓸 때를 기다리기보다 자치단체에서 고령화와 저출산 대책과 시범사업을 먼저 추진해야 한다”며 “시민사회, 전문가, 연구자, 공무원, 교육청 등이 참여한 ‘지속가능 기구’나 전담조직을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김종구 기자 sor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