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검은 대륙, 아프리카 경제 부상할까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검은 대륙, 아프리카 경제 부상할까

입력
2016.09.30 21:07
0 0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2000년대 초 아프리카 국가들은 국내총생산(GDP) 대폭 성장, 경제 개발 등을 경험하면서 ‘검은 대륙의 경제 호황’이라는 꿈이 금방이라도 실현될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최근 아프리카 경제는 중국의 성장 둔화, 원자재가격 폭락, 세계 안보위기 등 외부 경제 요인에 취약성을 드러내면서 또다시 주춤하고 있다. 과연 ‘기회의 땅’ 아프리카는 도약의 한계에 봉착한 것일까. 전문가들은 그러나 “아프리카의 경제위기론은 과장된 것”이라며 “여전히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하고 있다.

주요국가 성장률은 여전히 높아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남쪽 가장자리를 가리키는 사헬(sahel) 지대를 중심으로 한 북아프리카 국가들은 원유가 하락과 안보 불안이 가속화되면서 성장률이 하락세를 보이고 서부 아프리카 일부는 에볼라 파동의 직격탄을 맞았지만, 그 밖의 지역은 여전히 호황을 누리고 있다. 아프리카개발은행(AfDB)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10~2015년 아프리카 전체 연평균 GDP 성장률은 3.3%를 기록했다. 2000~2008년(4.9%)에 비하면 가파르게 하락한 수치다. 하지만 지난해 아프리카 경제권에서 가장 가파른 경제 성장세를 나타냈던 동부 아프리카 국가들은 2016~2017년에도 평균 6.5%를 웃도는 GDP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부티, 에티오피아, 케냐, 르완다, 탄자니아, 우간다 등이 바로 주인공이다.

특히 2015년에는 아프리카 전체가 순조로운 경제 성장을 보였다. 평균 GDP 성장률은 3.6%로, 세계 경제 평균 성장률(3.1%)을 웃돌았고 유로존 평균 성장률에 비하면 2배 이상의 실적을 냈다. 불안한 세계 경제, 원자재 가격 약세, 가뭄 같은 일부 지역의 열악한 기후 현상 등을 감안하면 괄목할 만한 성장이라는 평가다.

실제로 400여 개 업체가 연간 매출 10억 달러를 달성했다. 특히 대기업들이 여타 지역의 대기업 보다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원자재 가격 반등이라는 호재만 더해진다면 2017년까지 아프리카 경제 성장률은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릴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성장잠재력은 무한?

무엇보다 고무적인 것은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증가와 도시화, 디지털 혁명 등 아프리카가 대규모의 긍정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는 점이다. 유엔 인구분과위원회에 따르면, 2015년 말 현재 아프리카 인구는 12억 명으로 지난해에만 3,000만 명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향후 연간 4,200만 명 이상 증가, 2050년에는 24억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생산 가능 인구는 2034년 중국이나 인도를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구 구조의 변화는 내수를 대폭 확대하고 산업화ㆍ도시화를 뒷받침해 미래 경제 성장을 실현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코트디부아르, 에티오피아, 케냐, 탄자니아 등 역내 고성장 국가들은 최근 수출 의존도를 낮추고 내수 및 외국인 투자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컨설팅업체 메켄지글로벌연구소(MGI)에 따르면, 아프리카 소비자ㆍ기업 지출이 이미 4조 달러에 달했고, 2025년에는 5조6,000억 달러(기업 3조5,000억ㆍ가정 2조1,000억)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아프리카의 성장 잠재력은 본격적으로 개발 경쟁에 뛰어든 중국과 일본을 보면 짐작할 수 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해 말 “3년간 600억 달러를 아프리카 개발에 쓰겠다”고 했고, 이에 질세라 아베 신조(安倍晉三) 일본 총리도 지난 8월 케냐에서 아프리카 개발회의를 열고 “향후 3년간 민관이 합쳐 3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

인프라와 규제가 최대 선결 과제

다만 전문가들은 경제성장을 가로 막는 다양한 요인들을 우려하고 있다. 우선 인프라의 부족이다. 업체들은 고질적인 ‘전력 공급 부족’ 등 인프라 문제를 제조업 활동의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한다. 각종 규제 또한 해외 투자자들을 망설이게 하고 있다. 2015년 아프리카 대륙에 유입된 순해외자본 규모는 전년 대비 1.8% 감소한 2,080억 달러로 집계됐다.

역내 시장의 통합 또한 난제다. MGI가 발표한 ‘글로벌 연계성 지수’에는 아프리카 54개국 중 이집트와 모로코, 나이지리아, 남아공 정도가 100위 안에 들었을 뿐이다. 역내 시장의 절반 정도를 장악할 만한 대규모 시장이 없다. MGI 관계자는 “아프리카연합(AU)이 2018년부터 회원국간 입국사증 없이 왕래할 수 있도록 하는 공통 전자여권 발행 방안을 추진 중”이라며 “이는 유럽연합(EU)의 초기 작업과 비슷한 것으로 바람직한 변화”라고 평가했다.

역내 제조업체들이 팽창하는 내수시장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아프리카는 기초 식ㆍ음료 및 가공품의 3분의 1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약 20%)이나 남미공동시장 메르코수르(약 10%)에 비하면 수입 의존도가 높다. 특히 주요 건축자재인 시멘트의 경우, 아프리카 전역에 원료가 풍부한데도 여전히 수요량의 15%를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강주형 기자 cubie@hankookilbo.com

강유빈 인턴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